2010년 12월 28일 화요일

Sync / 싱크

Sync: How Order Emerges From Chaos In the Universe, Nature, and Daily Life
Steven H. Strogatz

Sometimes order appears from nowhere. When water freezes, it becomes ice suddenly, not step-by-step. Fireflies sometimes fire in order. Crickets chirp in unison. There are many kinds of spontaneous order in nature. This book deals with such order and how and from where the order emerges. Our world is inherently non-linear, that is, complex. That non-linearity causes negative feedbacks from which order emerges. Several interesting effects are by-product of emerged sync, like laser, superconductor, Bose-Einstein condensate or so. 

Sync(order) is beautifully by itself. That's why many cultural forms has sync in them. Spontaneity and Suddenness of Sync is miraculous. When we pour our efforts onto something, some kind of magic might appear. It's a lesson from this book.

올해의 마지막 교양과학서, Sync이다. 

물이 얼어붙어 얼음이 될 때, 물은 천천히 얼음으로 변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순간 갑자기 얼음으로 변화한다. 왜 갑자기 얼음으로 변하는 걸까. 비단 물이 얼음으로 될 때 뿐만이 아니더라도 무질서가 질서로 갑자기 변화하는 순간들이 존재한다. 그것을 아무렇지도 않게 지나치는 것이 보통 사람, 그리고 그것을 보면서 자연의 경이를 느끼는 사람이 과학자이다.
  • 반딧불이의 불빛이 서로 박자를 맞추어 깜빡이는 것. 
  • 귀뚜라미들이 합창하는 것
  • 콘써트에서 박수를 칠 때 그것이 저절로 박자가 맞는 것
  • 진자 두 개가 서로 진동수를 맞추도록 조절하는 것
  • 달이 지구쪽으로 항상 특정한 면만 보이고 있는 것
  • 목성이 소행성asteroid을 태양,지구쪽으로 던져대고 있다는 것, 그리고 아마 그로 인해 공룡이 멸종되었을 것이라는 것
  • 다리bridge가 행인들의 소동에 의해 진동하는 것
  • 레이저, 초전도현상, 보즈-아인슈타인 응축체Bose-Einstein condesate, 조셉슨Josephson 소자
  • Strange attractor: 카오스계에 내재된 질서의 한 예
  • 스케일프리scale-free 네트워크 혹은 작은 세계small world 네트워크. 그리고 small world network에서의 진동자들oscillators
  • 신경계에서 나타나는 신호 방출firing의 동기화
자연은 비선형계이며 비선형계에서 나타나는 두 가지 종류의 Sync, 즉 음의 피드백에 의한 질서유지와 양의 피드백에 의한 여러 현상 (레이저 등)은 참으로 경이롭지 않는가... 라는 이야기. 

자연이 보여주고 있는 어느 순간 갑자기 생겨나는 질서. 우리네 삶에도 어느 순간 갑자기 무엇인가 찾아 올까? 비선형계가 나에게 이야기하고 있는 것은 자연의 경이뿐만이 아닌 삶을 살아가는 방식에 대한 어떠한 비유인 듯하다. 

  • We interpret persistent sync as a sign of intelligence, planning, and choreography.사람은 SYNC된 동작을 보는 것을 좋아하고 그래서 군무가 유행하는지도. 바보들도 연습하면 동작은 맞출수 있으니까.
  • The same mathematical structure cropped up in models of other interacting systems, ranging from forest fires to mass extinctions. In each case, an individual element is subjected to increasing pressure, builds up toward a threshold, then suddenly relieves its stress and spreads it to others, potentially triggering a domino effect. 나쁜 일이든 좋은 일이든 떼로 몰려 일어난다.
  • Nobert Wiener's analysis of Brownian motion, the erratic jiggling of molecules in solution, went far beyond Albert Einstein's intuitive approach to the same problem, and his methods laid the foundation for Richard Feynman's work in quantum electrodynamics. Cybernetics의 Nobert Wiener가 이런 사람이었다니, 놀랐다. 18세에 Harvard에서 박사를 받았다기도.
  • Whenever the whole is different from the sum of the parts -- whenever there's cooperation or competition going on -- the governing equations must be nonlinear. 협동이나 경쟁이 들어가면 논리니어, 즉 실생활, 사회현상의 대부분은 논리니어.
  • How can a system of millions of particles spontaneously organize itself?
  • How long a subject stayed asleep did not depend on how long he had been awake beforehand; it depended on when he fell asleep in relation to his cycle of body temperature: Long sleeps always began at high temperature and short sleeps at low temperature. 즉 호르몬 분비로 인한 생체 리듬이 형성되어 있어서, 짧은 낮잠이 아닌다음에야 일어나는 시간이 일정해진다는것. 몸이 따뜻해지면 잠이 깨고, 추우면 잠을 자라? ^_^. 4-6AM은 가장 낮은 체온. 체르노빌을 포함한 대참사는 다 이 시기에 일어났다. 이 시기에는 차조심해야한다.
  • The intriguing suggestion is that we become sleepy in the mid-afternoon, not because we have eaten a big lunch, or because it is hot outside, but because our circadian pacemaker demands it..
  • Although the role of serendipiry is familiar, what's not so well appreciated is how different serendipiry is from luck. Serendipity is not just an apparent aptitude for making fortunate discoveries accidentally as my dictionary defines it. Serendipitous discoveries are always made by people in a particular frame of mind, people who are focused and alert because they're searching for something. They just happen to find something else.
  • miraculous consonance of two pendulums: 두 개의 진자가 엇갈리게 교차되도록 해 놓았을 때 두개의 진자주기가 공명하는 현상. Hyugens가 발견. 그러고 보면 예전 어린이회관에 설치되어 있었던 커다란 진자 생각이 난다. 원리가 무엇인지도 몰라도 그냥 구경에 시간가는 줄 몰랐던 그 시절.
  • At a critical temperature, the clouds broaden so much that they srarr to overlap, and the bosons srarr ro mingle. As soon as rhar happens, said Einstein, a large proportion of them should spontaneously collapse into the same quantum state, the state of lowest possible energy. 초전도현상. 초전도 현상을 들은건 30년전. 그 기반이치를 듣게된 것은 지금에 와서야. *한숨*
  • Then suddenly, once the coupling exceeds a certain threshold (because there are enough people on the bridge to shake it sufficiently), synchrony breaks out cooperatively
  • The most important result of the simulations was that over a broad intermediate range of rewiring, the model nenvorks were very clustered and very small at the same time. That peculiar combination was new to mathematics. In traditional networks, size and clustering go hand in hand. Random neworks are small and poorly clustered; regular ones are big and highly clustered. The rewired networks managed to be both small and highly clustered simultaneously.
  • The main result is that the model displays two distinct phase transitions, popularly known as tipping points. If the nework is too sparsely connected, it fragments into tiny islands and cascades can't spread beyond any of them. At a higher, critical level of connectivity-the first tipping point-the islands abruptly link together into a giant mesh and global cascades become possible. An initial seed can now trigger an epidemic of change that ultimately infects much of the population. With further increases in connectivity, the cascades at first become even larger and more likely, as one might expec, but then-paradoxically-they become larger yet rarer, suddenly vanishing when the newrork exceeds a critical density of connections. This second tipping point arises because of a dilution effect: When a node has too many neighbors, each of them has too little influence to trigger a toppling on its own.
  • spontaneous slowdown in highway/slowing down of individual applause rate: complex network에는 모두 phase transition이 일어나나? 사회라는 네트워크에서 그에 해당 되는 것은 무엇일까?
  • Naturally, each subject remembered some words and forgot others, but what was fascinating is that their neurons behaved differently in the two cases, at rhe moment the words were first viewed. A quarter of a second after viewing words that they'd later remember, their brains showed a rush of synchrony between rhe hippocampus and rhinal cortex, but there was no synchrony when they first viewed words that they'd later forget. To exaggerate a bit, this means that by watching the electrical pattern in someone's brain when he or she tries to memorize a word, you can predict whether he or she will succeed. You can see if the brain is dropping the ball. 기억, 인지에서도 신경의 sync가 관찰된다.
  • "consciousness involves synchronized firing of neurons ar the millisecond level, whereas uncorrelated firing can infuence behavior without generating that special buzz in the head."
  • At its strangest, that special buzz can trigger an indescribably odd sensation. If you have not felt it yourself, it will sound ridiculous, but if you have, you'll know exactly what I mean, and it's a chilling feeling. It happens to me maybe once or twice a year, and it comes without warning. I'll be standing in front of the mirror, brushing my teeth, and I look at myself and suddenly think: Who's in there? Or, Who's that?

2010년 12월 23일 목요일

2010년 독서 결산

독서가라고는 하지 못해도 취미가 책이요, 가진 것 중에 중한것이 무엇이냐 하면 책이라고 말한 정도는 된다. 올 한 해 꾸준히 읽은 책들 71권을 정리해보았다.
  1. 201001 소설 1Q84 1,2
  2. 201001 경영 弾言
  3. 201002 역사 하룻밤에 읽는 한국사
  4. 201002 일본어 일본어 문형포인트 120
  5. 201002 문화 ダーリンは外国人
  6. 201002 교육 다섯 살 두뇌력이 평생학습을 결정한다.
  7. 201003 운동 Born to Run
  8. 201003 운동 인간사냥꾼은 물위를 달리고 싶어했다
  9. 201004 경영 Rework
  10. 201004 소설 눈먼자들의 도시
  11. 201004 소설 부부가 있는 정경
  12. 201004 SF 중요한 부분
  13. 201004 소설 예약석
  14. 201004 건강 지금있는 암이 사라지는 식사
  15. 201004 건강 머리가 좋아지는 눈 건강법
  16. 201004 소설 미륵의 손바닥
  17. 201004 소설 살육에 이르는 병
  18. 201005 소설 이즈의 무희
  19. 201005 소설 라쇼몽
  20. 201005 소설 열대수
  21. 201005 건강 현대인은 효소를 밥처럼 먹어야 한다
  22. 201006 인물 운명이다
  23. 201006 인물 너는 99%의 가능성이다
  24. 201006 일본어 이치고의 일본 생활 백서
  25. 201006 소설 흑소 소설
  26. 201006 인물 미야모토 무사시
  27. 201006 건강 엔자임: 효소와 건강
  28. 201006 독서 청춘의 독서
  29. 201006 소설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30. 201007 일본어 일본어 필수한자 1945
  31. 201007 소설 무서운 아이들
  32. 201007 소설 종합상사: 대우
  33. 201008 경영 사장으로 산다는 것
  34. 201008 문화 신의 나라, 인간의 나라
  35. 201008 일본어 삼마군의 일기
  36. 201008 일본어 일본어 상급 점프
  37. 201008 수필 나를 사랑하는 법
  38. 201008 소설 피에트라 강가에서 나는 울었네
  39. 201009 경영 가슴 뛰는 삶
  40. 201009 영어 ネイティブなら子どものときに身につける 英会話なるほどフレーズ100
  41. 201009 일본어 ちびまる子ちゃんの敬語教室
  42. 201009 일본어 왕 기적의 일본어 단어장
  43. 201009 여행 슬픈 외국어
  44. 201009 여행 먼 북소리
  45. 201009 소설 노르웨이의 숲
  46. 201010 경영 리엔지니어링 기업 혁명
  47. 201010 경영 빌게이츠@생각의 속도
  48. 201010 경영 The Future of Management
  49. 201010 경영 좋은 기업을 넘어 위대한 기업으로
  50. 201010 경영 How the Mighty Fall
  51. 201010 과학 만들어진 신
  52. 201010 과학 눈먼 시계공
  53. 201010 인물 못말리는 CEO 스티브잡스
  54. 201010 소설 칼의 노래
  55. 201011 과학 평행우주
  56. 201011 SF The Hitchhiker's Guide to the Galaxy
  57. 201011 과학 E=mc2
  58. 201011 과학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59. 201011 과학 링크
  60. 201011 소설 나무를 심은 사람
  61. 201011 과학 파인만의 여섯가지 물리이야기
  62. 201011 과학 스티브 호킹의 삶과 사랑
  63. 201011 문화 북유럽 신화
  64. 201012 과학 교양으로 읽는 뇌과학
  65. 201012 문화 청소년을 위한 길가메쉬 서사시
  66. 201012 경영 성공하는 시간관리와 인생관리를 위한 10가지 자연법칙
  67. 201012 SF 앞으로 일어날 일
  68. 201012 과학 카오스
  69. 201012 경영 스타벅스, 커피 한잔에 담긴 성공신화
  70. 201012 경영 끝도 없는 일 깔끔하게 해치우기
  71. 201012 과학 Sync
그리고 이 들 중에서 HF의 올해의 책 3권을 고른다면 다음책들이다. 피에트라 강가는 나의 마음에 돌을 던져 파문을 일으킨 책.미래의 경영은 Bottom-up으로의 경영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많은 부문에서 Bottom-up 어프로치가 적합할 수 있다는 것. 그리고 교양으로 읽는 뇌과학에서는 이케가야 유지라는 또 하나의 훌륭한 선생을 만나게 되었다. 이런 책들을 읽고 나서는 그 여운이 한참동안 가슴속에 남아 있다. 어린 시절 굉장한 영화를 보고 났을 때와 비슷하게 말이다. 사색을 통해 그 여운을 충실하게 받아들여야 하는 것이 남은 숙제이다.




피에트라 강가에서 나는 울었네
파울로 코헬료
The Future of Management
Gary Hamel
교양으로 읽는 뇌과학進化しすぎた脳
池谷 裕二

HF의 2010년 결산

올 한 해, 800여 킬로 걷고 달렸다. 내년에는 1000km돌파를!
runkeeper.com fitness report. 10월의 부상 영향을 볼 수 있다.

금요일 오전이다. 정기 세미나가 취소되어 생긴 두 시간정도의 여유, 올해를 결산해보기로 하자.

"2010년은 40대를 준비하는 해. 건강이 주이지만, Lisp과 아이폰 개발, 그리고 일본어공부도 놓쳐서는 안된다." 라는 목표였다.

건강과 일본어는 얻었으나 Lisp와 아이폰 개발의 목표는 이루지 못했다. 그리고 건강에 대한 욕심도 지나쳐서 무릎부상까지 얻었으니 득과 실 중 어느 쪽인지 고개를 갸우뚱 할 수 밖에 없는 그런 한 해였다.

아래 7개의 세부 목표 중 3개를 해 냈고 4개는 이루지 못하였다.

1회 이상의 10km 마라톤 완주: 성공
10월 10일 제 10회 대청호 마라톤 10km를 완주하였다.

20회 이상의 가벼운 등산: 실패
한달에 두번정도 등산을 갈 수 있겠거니 하고 생각하였지만 그것이 무리한 계획이었다.

65kg으로의 체중 감량 (현재 71.5kg이다): 성공
62kg까지 감량하였으나, 10월 마라톤 이후 얻은 무릎 부상으로 인해 운동을 할 수 없어서 지금은 65kg이다.

시력 향상의 노력: 실패
하지 못하였다. 계량화 되지 않은 목표는 어지간하연 이룰 수 없는 것이구나.

JLPT 2급의 획득: 성공
시력 향상 목표와는 반대로 너무나 명확한 목표. 무난히 취득하였다. JLPT 2급은 일본어 한자 공부만 하고 가면 쉽게 딸 수 있다.

Lisp 오픈 소스 프로젝트의 개설및 유지: 실패
이것 역시 "어떤 프로젝트를 개설한다"라는 목적이 없었기에 실패하고 말았다. Lisp라는 것은 Goal이라기보다는 수단이었기 때문이다.

아이폰 앱 퍼블리시: 실패
앱 하나 개발해 보지 못한 채 개발자 프로그램이 만료되는 경험은 유쾌한 경험이 아니었다.

신년에 결심한 것은 아니지만 다음과 같은 일년을 보냈다.

  • YAHF 블로그를 비교적 꾸준히 써 나아갔다. 일을 제외하면 가족, 그리고 독서를 하면서 보낸 한 해였기에 주로 독서에 대한 내용이었다. 
  • 책을 70여권 읽었다.
  • 마라톤 목표 때문이기도 했지만 출퇴근시에 꾸준한 운동을 했다.
  • 회사생활로서는 심정적으로 불안한 한 해를 보냈고, 보내고 있다.
  • HO는 감기를 달고 살기는 했지만 비교적 건강하게 보냈다. 유치원에 가기 싫어하고 밥 먹기 싫어하고 목욕하기 싫어하는 것만 빼면 착한 아이. HO와 많은 시간을 보내지 못한다는 것에 항상 부담을 가지고 살았다.
  • HM은 18개월째 공부에 도전중. 육아와 내조에 (내 생각에는 99:1이라고 생각하지만)  바쁘면서도 어떻게 잘 하고 있다. 나라면 못했을텐데, 대단하다. 하지만 그 바람에 올 한 해 신경이 날카로왔다.
  • 아버지는 올해도 많은 풀코스 마라톤을 완주하셨고 어느날은 100km를 홀로 도전해서 완주하셨다. 건강하시지만 많은 활성산소의 발생때문인지 최소한 겉보기로는 많이 늙으셨다.
  • 어머니는 여전히 탁구 모임에 열성이시다. 최근 안검하수 수술을 받으셨다.
  • 장인도 건강하시다. 연 초에 암진단으로 인해 가족이 모두 긴장하였으나 수술 후 상태가 좋으시다. 거의 매일 등산과 운동에 열심이시다.
내년에는 40이구나. 올해보다 나은 한 해, 그 해의 마지막에 나는 어떤 이야기를 쓰고 있을까? 그러면 또 일 년 후에. 


2010년 등산일지
  1. 20100103 계룡산 동학사 매표소까지
  2. 20100110 계룡산 동학사 동학사까지
  3. 20100117 계룡산 갑사 대자암까지
  4. 20100131 계룡산 동학사 향아교까지
  5. 20100221 태화산 마곡사 백련암까지
  6. 20100915 충대뒷산 도서관에서 신성동까지
  7. 20100917 충대뒷산 도서관에서 신성동까지
  8. 20100923 계룡산 갑사 매표소까지
  9. 20100925 충대뒷산 신성동에서 반환점까지갔다왔다
  10. 20100926 장태산 어드벤처옆길등산로 숲속의집까지
  11. 20101003 충대뒷산 신성동에서 우리집까지
  12. 20101024 속리산 법주사 주차장-법주사
  13. 20101030 계족산 장동휴양림 한시간 산책

2010년 12월 22일 수요일

Dear HO / HO야!

Dear HO,
Thanks for your love.
You are our treasure, our pride.

- Autumn, 2010

2010년 12월 21일 화요일

A Plan for Year 2011 / 신년 계획

신년 계획을 꼭 신년 벽두에 세울 필요는 없다. 미리 세워두고, 미리 그를 위해 매진하는 사람이 부지런한 사람이다... 라고 스스로 되뇌이며 2011년의 목표를 세워본다.
  1. 평생 일하는 습관을 들인다. 60%이상이면 성공
    1. 일찍 일어난다. (6시정도) 
    2. 일찍 잔다. (11시정도)
    3. 매일 오전에 3시간씩 집중하여 일을 한다. (집중에 방점)
  2. 건강해진다. (1을 위해서도)
    1. 하프 마라톤을 1회 완주한다.
    2. 감기에 걸리지 않는다. 6회 이하면 성공
    3. 위를 위해서 개인 위생을 철저히 한다
    4. 건강해진 상태로 둘째를 가진다.
    5. 위를 위해서는 매일 5km~10km를 걷거나 달린다. 200일 이상이면 성공
    6. 위를 위해서는 부상을 피한다.
  3. 언어 공부를 한다
    1. 일본어
    2. 영어
    3. Lisp
  4. 인생의 goal을 세운다 (Franklin-Covey Approach)
    1. 왜 사는가
    2. 어떻게 살 것인가
    3. 어떻게 돈을 벌 것인가
  5. GTD를 실행한다.
그리고... 해 볼 만한 것으로써, 그림일기를 써본다와 좋은 일 세개씩을 찾아본다.


There's no need to make a New-Year resolution at the first day of new year. A deligent man prepares early. It's not to say that I'm a deligent person, but I make my next year's goal today.
  1. Establish a habit for perpetual working
    1. Get up early, around 6AM
    2. Go to bed early, around 11PM
    3. Work for 3 hours without distraction at morning time
  2. Be healthy
    1. Do a half marathon once
    2. Avoid cold
    3. Clean myself to avoid cold 
    4. Walk or run 5~10km per a day
    5. Avoid injury
  3. Learn languages
    1. Japanese
    2. English
    3. Lisp
  4. Set up a goal of my life (Franklin-Covey Approach)
    1. Why do I live
    2. How do I live
    3. How do I make a fortune
  5. Apply GTD on eveyday life
And I'm thinking about drawing a diary and finding three good things each day.

2010년 12월 15일 수요일

Knee Injury / 무릎, 낫지 않는가

10월 10일의 마라톤 대회 이후 두달이 넘게 지났다. 대회 이후 아프기 시작한 왼쪽 무릎. 처음에는 이 주 정도 쉬면 나으려니 하고 대수롭지 않게 여겼지만 결론적으로 지금까지 운동을 못 하고 있다. 이 주 정도 쉬고 다시 뛰었을 때 일 이 킬로미터를 뛰니 다시 아프기 시작하는 것이다. 그래서 또 이 주 쉬고 뛰어보고, 그래도 또 아파서 한 달을 쉬어보았으나 다시 뛰면 일 킬로미터 지점이 되었을 때 통증이 시작된다.

덕택에 몸무게는 2~3kg늘고 생활 자체도 늘어지게 되었다. 몰랐었는데, 달리기라는 것이 부지불식간에 무형의 형태로 나를 잡아주고 있었던 모양이다. 어떻게 해야 할 지 몰라 안타까운 상황.

I got my left knee hurt from last 10km race two months ago. I didn't take it seriously since it's said that injury is runner's friend. Now, I'm nervous of not recovering from injury. Mere running 1~2 km causes my knee hurting. I didn't take any action because it's OK when I was not running. What should I do? Do I have to rest for another several months? It's sad.

2010년 12월 10일 금요일

Last Cold of 2010 / 2010년 마지막 감기

It's a hospital here. I caught a cold again. HM told me that bad behaviours, like not washing hands and eating foods with dirty nare hands, were main reason of catching a cold too many times. A computer keyboard I touch all the times is one of dirtiest things in the world, she says. I know that I've got a cold too many times this year. I hope this is last time in 2010. Avoiding cold shall be a next year's goal with topmost priority!!!

2010년 12월 8일 수요일

Getting Things Done / 끝도 없는 일 깔끔하게 해치우기

Getting Things Done: The Art of Stress-Free Productivity
David Allen

Getting Things Done, also known as GTD, is a title of a book and at the same time a famous bottom-up approach of managing time, task and life. Top down approaches, the leading one is Frankley-Covey approach, are inflexible and hard to manage, so those hardly lead to successful life management, says the author. He says that we need a bottom-up management way to clear our mind, to deal with many ever-changing daily to-dos. Briefly saying, GTD tells us how to concentrate in our daliy lives.

It's worth saying that bottom-up approaches does not mean not setting goals. Wise bottom-up approachers know, or at least think consistently, where they are going. The only reason for adopting bottom-up approaches is to keep away with inflexibility, which happens often in top-down approaches. Though top-down approaches are trying to deal with inflexibility with proper planning, it's not easy. When goals are well set, just a small bit of intermediate planning is enough. With goals in mind, with completing small jobs step by step, one can get a great thing done.

끝도 없는 일 깔끔하게 해치우기Getting Things Done, 데이비드 알렌 지음, 공병호 옮김, 21세기북스

삼년전쯤에 직장에서의 일에 치여 허덕이고 있던 중 이 책을 접하게 되었다. 그 때 받아들인 핵심은 "모두 위임해버려."

그 후 업무적으로 굉장히 편해졌다. 그러나 지난 삼년간 업무적으로 성취한 것이 무엇인가 되짚어보면 특별히 이렇다 내세울 것이 없다. 회사에서 내가 맡은 조직은 무엇인가를 진행하고 만들어내며 결과를 내곤 있지만 나 자신의 결과이다라는 생각이 들지 않는다. 예전 내가 다 도맡아 했을때는 일에 치어 살아서 굉장히 피로했지만 그만큼 내가 직접 이걸 해 냈다라는 느낌이 있었다. 지금은 그것이 없는 것이다. 직접 무엇인가를 해 내는 일에서 기획하고 경영하는 일로 바뀌게 되면서 나타나는 당연한 상실감일 수 있다고 머리속으로는 인정한다. 하지만 또 다른 쪽에서는 이건 아니야라고 속삭이고 있다. 그렇다, 자기 자신을 속일 수는 없는것이다.

생각은 이렇다. 위임을 해서 심신이 편해지는 것은 좋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위임하는 쪽을 선택했다면 그 전 보다 더 가치있는 일을 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위임을 통해 자신이 다 안고 가는 것에 비해 자신도 편해졌고 또한 전체적으로 처리하는 일의 양도 많아졌다. 하지만 일을 많이 할 수 있게 되었을 뿐이다. 양적인 성장 뿐이다. 위임을 통해 일을 많이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면 위임하기 전에는 할 수 없었던 일을 해야 한다. 위임하기 전에 시간이 없어서 할 수 없었던 일이 아니라, 위임하기 전에는 아예 아무리 시간이 많아도 할 수 없었던 일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질적인 성장이 필요하다.

사람이 바뀌어야 한다. 어린이는 어른이 되어야 하고, 학생은 연구자가, 그리고 멘토가 되어야 한다. 즉 성장해야 하는 것이다.

이를 생각하면서, 다시 한 번 Getting Things Done방법을 바라보기로 한다.

  • 스트레스가 증대되는 주요인 가운데 하나는 업무의 성격이 우리의 훈련과 일처리 능력을 뛰어넘어 급작스럽게 변화했다는 사실이다. 과거에는 일의 성격이 명확했고, 일이 끝났을때의 경계도 명확했다. 하지만 오늘날 대부분의 프로젝트에는 분명한 경계선이 없어지면서 사람들에게 오히려 더 많은 일을 요구한다. 결국 갈수록 개인의 사무실은 무너지고 과거의 여유도 함께 사라진다.
  • 자신과의 약속을 경영한다: 첫째, 마음속에 약속이 남아 있으면 정신은 명료할 수 없다. 둘째, 자신이 한 약속이 무엇이고 어떻게 해야 이룰수 있는지 정해야 한다. 셋째, 그 결정을 기록하여 정기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 마음속에 무언가 남아있다는 것: 의도하는 결과를 정확히 규정하지 않았기 때문. 미리 예측했다 할지라도 행동단계를 결정하지 않았기 때문. 자신이 신뢰할 수 있는 시스템에 성과를 입력해 두지 않았기 때문. 이 문제점이 해결되지 않으면 뇌는 그 일을 포기하지않는다. 다른 사람 전부를 속일 수는 있어도 자신의 마음은 속일 수 없다.
  • 일상의 약속에 얽매인다면 좀 더 넓은 비전에 집중하는 능력이 크게 훼손된다. 보텀업 접근법의 효과가 더 크다.
  • 내가 만나 온 상당수의 기업 간부들은 근무 시간에는 일상적인 업무를 정리하고, 저녁에는 회사와 미래에 대한 비전을 그려보는 시간으로 보낸다고 했다.
  • 프로젝트의 5단계 공략: (1) 목적과 원칙 규정 (2) 결과에 대한 비전 (3) 브레인 스토밍 (4) 조직화 (5) 다음 행동 확인.
    • 비교적 명확하게 규정된 프로젝트에서도 프로젝트에 관한 아이디어를 쏟아낼 시간이 없어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는 사람들이 있다.
    • 조직화란 처리 업무를 선택하고 의사결정을 엄격히 시행하는 것이다.
    • 다음 행동 확인에 있어 중요한 것은 "다음 행동은 무엇이고, 누가 책임자인가"이다.
  • 파일링, 참고 시스템이 필요하고, 중요하다.
  • (일거리의) 수집 단계는 물과 같은 마음의 상태에 들어서기 위한 중요한 첫 단계이다.
  • 행동을 취하지 않아도 기분이좋은 경우는 오로지 당신이 행동을 취하지 않고 있는 그 사물의 정체가 무엇인지 잘 알고 있을 때뿐이다.
  • 머리를 비우기로 굳게 결심했다면, 모든 곳에서 철저하게 행해야 한다. 집안일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과정을 밟을 수 있다.
  • 위임은 꼭 부하직원에게만 하는 것이 아니다. 다른 담당자/ 상사/ 동료 에게 할 수도 있다. 
    • 순서로는 (1) 담당자에게 e-mail (2) 문서에 메모를 붙여 적임자에게 (3) 적임자에게 음성메일 (4) 후임자에게 부탁할 것을 리스트에 적어서 (5) 적임자와 직접. 이 순서를 시도해보라
  • 수집함의 바닥에 도달하는 마지막 단계에서는, 숲 (당신의 프로젝트)으로 눈을 돌려야 한다. 
  • 프로젝트는 당신이 달성하기로 약속한 결과물로서, 완결하기까지 하나 이상의 행동단계가 필요한 것이다. 프로젝트 리스트를 만들어, 모든 미완의 고리에 대한 표지 역할로 사용하라. 그러면 그것은 당신의 현재 위치와 앞으로 향하는 곳을 검토할 수 있게 해 준다.
  • 언젠가·어쩌면Someday/Maybe 리스트: 현재 관여할 지 말지 확신이 서지 않는것. 이 리스트에 들어갈만 한 일이 과거에 있었는지 기억해보고 집어넣어본다.
    • 창조적 상상: 언제가 시간, 돈이 제약없을 경우 진정으로 하고 싶은 일이 무엇인가
    • 현재 프로젝트: 업무와 목표라는 관점에서 향후 몇달이상 이후에 무엇을 해야할 것인가
    • 실현할 수 있는 것: 아이디어, to buy, to do
  • 중요한 의사결정: 경우에 따라서는 지금 하기는 어렵지만 언젠가는 내려야 하는 중요한 의사결정이 있을 수 있다. 그에 필요한 추가 정보가 자신에게서 나온다고 판단했다면 연기해도 좋다. 미결사항을 편하게 생각할 수 있으려면 적절한 시간에 다시 해당 문제에 집중하게 해주는 안전 장치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달력이라는 리마인더는 이런 역할을 수행한다. 이런 범주에 드는 전형적인 결정 사항들은 다음과 같다
    • 고용·해고
    • 합병, 인수, 매각, 구조조정
    • 업무나 경력 변경
  • 달력 위의 작은 공간에는 큰 사건들은 적지 못한다고 생각할 지 모른다. 하지만 "혹시 정해진 날짜에 기억을 상기시킬 수 있는 장치를 만들어두기만 하면 현재는 편하게 있을 수 있는 결정 사항"이 있다면 문제를 다시 검토할 계기가 되는 기록을 달력에 남겨둔다.
    • 추후 확인 파일을 이용해 자료도 이런식으로 관리 가능하다.
  • 체크리스트: 체크리스트를 만드는 일을 주저하지 말아야 한다. 인생의 핵심 가치부터 야영에 필요한 것까지 한계가 없다. 예를 들자면
    • 개인 확인, 이를테면 개인적 가치 진술서
    • 책임지고 있는 업무 분야, 핵심 책임 분야
    • 여행 관련
    • 주간 검토
    • 후련 과정의 구성 요소
    • 회의 관련
    • 내 생활과 업무에 관계된 주요 인물
    • 조직표
  • 주간 검토: 관리 시스템의 유지에서 가장 어려운 것은 보다 높은 곳에서 우리의 정신과 시스템을 내려다보고 이를 새롭게 고쳐야 한다는 점이다. ···주간 검토는 이에 가장 핵심적 역할을 한다.
  • 자신의 일을 검토하기 위한 여섯가지 고도altitude 모형
    • 인생
    • 3-5년의 비전
    • 1-2년의 목표
    • 책임 영역
    • 현재의 프로젝트
    • 현재의 행동
  • 화이트보드: 집에 아이가 있다면 아이 침대 곁에 하나 설치해보라. 나는 어릴때부터 최대한 많은 아이디어를 갖고 살아가라는 격려를  받으며 자랐다면 좋았을 텐데 하는 생각을 하기도 한다.
  • 무언가를 생각하는 것Think-of이 아닌, 무언가에 대해서 생각할 것Think-about을 권하고 싶다. 
  • 내가 몇몇 조직체에서 목격한 가장 심각한 종류의 생산성 손실은 장기적 프로젝트에 대해 결정된 다음 행동이 없는 경우에 일어 났다. 
  • 장기적 프로젝트란 결승선이 좀 멀다 뿐이지, 여전히 되도록 빨리 달성해야 좋은 것들이다. 장기적이란 표현은 단지 완결될 때까지 다른 것보다 더 많은 단계가 필요하다는 의미이지, 아직 헤아릴 날짜들이 많이 남아 있으므로 다음 행동을 결정할 필요가 얺다는 의미가 아니다.
  • "다음 행동이 무엇인가?"를 묻는 것은 패배주의적 생각을 물리친다. 그것은 항상 변화의 가능성이 있다는 것과 당신이 무언가 이룰 수 있는 일이 있음을 전제 조건으로 한다. 
  • 호의가 열릴때마다 듣기 좋은 소리들은 많이 오고가지만, 정작 필요한 것은 "우리는 이것을 왜 하는가?"와 "성공적인 결과는 어떤 모습일까? 같은 질문이다.

2010년 12월 5일 일요일

Pour Your Heart into It / 스타벅스, 커피 한잔에 담긴 성공신화

Pour Your Heart Into It: How Starbucks Built a Company One Cup at a Time
Howard Schultz Dori Jones Yang
Howard Schultz tells us his Starbucks story in this book,Pour Your Heart Into It. While this is a story of a company, it's full of inspirational quotes on life and management at the same time. Among several advices from it, the most important one is faith. Keeping the faith to oneself made it possible to take a risk to start a company. Keeping the faith to colleagues made it possible to become a better company. When they faced to risks, the faith not to compromise quality helped them escape from the risks. I got much impression from reading this page-turner.

스타벅스; 커피 한잔에 담긴 성공신화, 하워드 슐츠·도리 존스 양 지음, 홍순명 옮김/ 1999, 김영사

스타벅스의 회장 하워드 슐츠의 자수성가 스토리이다. 여러가지 이야기를 하고 있지만 결국 誠 -  Faith 으로 (우리말로 하면 뭐가 좋을까, 충실일까?) 귀결된다. 먼저 자기 자신에게 충실하고, 종업원에게 충실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 그 대 원칙 하에서 경영에 대한 여러가지 자신의 생각을 풀어놓았다. 경영을 소재로 한 경영 금언록이라고 해도 좋을 정도. 경영과 삶에 대해 영감inspiration을 주는 책이며 동시에 흥미롭게 읽히는 좋은 책이었다. 
  • 제대로 볼 수 있는 건 마음이야. 본질적인 것은 눈에는 보이지 않는 법이지 - 어린왕자 중
  • 원칙 외에는 모든 것을 바꿀 수 있다.
  • 첫째, 모든 회사는 특별히 상징하는 것이 있어야 한다. ···둘째, 단지 고객들이 요구하는 것만 제공하지 않는다.
  • 어떤 사람들은 현재의 것들을 있는 그대로 보고, "왜?"라고 말하지만 나는 과거에 없었던 것들을 꿈꾸며 말한다. "왜 안돼?" 라고··· - 조지 버나드 쇼
  • 4년 동안의 대학시절을 통해 나는 내 안에 있는 뉴욕사람의 기질을 부드럽게 가라앉히는 방법을 터득하고 있었다. 식사를 하면서 편안하게 이야기를 나누며 그들에게 좋은 인상을 심어준 것이다. 비즈니스 이야기는 메인코스가 나올 때 까지 기다렸다.
  • 나는 종종 "내가 그 때 아무런 항변도 없이 그들의 결정(사업거절)을 그냥 받아들이기만 했다면  오늘날 어떻게 변해 있을까?" 하고 상상해본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직업을 구하고자 할 때 거절당하면 그냥 떠나 버린다.
  • (출장에서) 다음날 아침 문 밖으로 발을 내딛으며 따뜻한 가을 햇살 속으로 들어가는 순간, 나는 뭐랄까 이태리의 영혼 같은 것이 나를 온통 감싸 안는 것 같았다.··· 나는 그곳에서 영감과 비전을 받고 스타벅스를 전국적인 회사로 확장했다.
  • 회사와 종업원 사이에 믿음과 신뢰의 관계를 쌓는 것보다 귀중한 것은 없다.
  • 빚을 지는 것은 회사의 자금을 조달하는 최선의 방법이 아니다. 
  • 창업당시: '이것은 바로 나 자신을 위한 순간이다. 만일 내가 이 기회를 잡지 않는다면, 만일 내가 현재의 편안한 위치를 벗어나서 모험을 하지 않는다면, 만일 내가 이 많은 시간을 그대로 허비해 버린다면, 나의 순간, 나의 기회는 그냥 지나가 버리고 말 것이다.' ···내 친구 케니 지Kenny G도, 확고한 위치와 수입을 보장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소리를 찾기 위해 그 악단을 떠나야만 한다고 생각했다. 무엇인가를 해 낸 사람과 해내지 못한 사람 사이에는 무슨 차이가 있을까? ··· 성공을 구성하는 일부분은 타이밍과 기회다. 꿈을 꾸는 것도 필요하지만, 시기 적절한 순간 주변의 익숙한 것들을 떠나 자신의 목소리를 찾기 위해 과감히 떠날 줄 알아야 한다.
  • 우리는 우리가 할 수 있다고 느끼는 것으로 우리 자신을 판단한다. 반면 다른 사람들은 우리가 이미 해 놓은 것을 보고 우리를 판단한다. - 헨리 워즈워드 롱펠로우
  • 성공하는 사람들은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뭔가를 열심히 하는 것 같습니다. 그들은 모든 에너지를 모험하는 데 씁니다. 이 세상에서 아주 적은 수의 사람들만이 기꺼이 커다란 모험을 감행하는 것 같습니다.
  • 사람은 존경과 품위로, 기업은 가치관과 원칙으로 다룬다.
  • 성공의 열쇠는 우리가 고용한 사람들의 손에 달려 있다. (고용인의 교육이 굉장히 중요하다)
  • 회사가 종업원들에게 혜택을 주면, 그들은 자신들이 하는 모든 있에 있어서 보다 긍정적인 생각을 갖게 된다.
  • 스타벅스의 사명: 1. 훌륭한 작업환경을 제공하고 서로서로 존경과 품위로 대한다. 2. 비즈니스를 하는 방법에 있어서 다양성을 필수 요소로 포용한다. 3. 최고수준의 기술로 신선한 커피를 배달하고, 매입하고, 배전한다. 4. 고객들이 항상 만족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한다. 5. 우리의 사회와 환경에 적극적으로 공헌한다. 6. 수익성은 우리 미래의 성공에 필수적이라는 것을 인식한다.
  • 일단 무언가 하고 싶은 것이 생각났다면, 그와 같은 경험이 있는 사람 - 재능 있을 뿐 아니라 당신을 인도할 수 있는 경험이 있는 기업가와 전문경영인 (즉 멘토) - 을 찾아라. 그들은 광산 어디에서 광맥을 찾을 것인가를 알고 있다.
  • "공격은 점수를 얻고, 방어는 경기를 승리로 이끈다." 관리 부분은 포인트를 획득할 수 있는 중요한 활동 장소이다.
  • (상장 후) 삶의 방법은 변했고, 결코 이전의 단순한 비즈니스로는 돌아갈 수 없게 되었다.
  • 사업을 전개해 나가다 보면, 종종 중간에서 분기점들을 만나게 된다. 인텔사의 CEO인 앤디 그로브는 그것들을 '굴절점'이라고 부른다. 그 당시 그것을 모를 수도 있지만, 그 분기점에서 내린 결정들은 향후 그대로 반영이 되어 돌아온다.
  • 사업이나 인생에서 영원히 똑같이 머물 수 있는 것은 없다. 현상에 의지하는 것은 슬픔만을 초래할 뿐이다.
  • 단가를 고민하여, 품질을 저하시키면 고객은 모를지 몰라도 우리는 알 수 있다. 정직성은 우리가 내세우고 있는 것이며, 바로 우리의 중요한 일면이다. 단가를 논하기 전에도, 조잡한 품질로 이익을 내려한다면 좋은 직원들은 떠날 것이고 사기는 떨어질 것이며 실패가 우리에게 찾아오고 다시 재기하는 것은 불가능할 것이라고 우리 모두는 깨닫고 있었다. 
  • 우리는 결코 브랜드를 구축할 의도는 없었다. ···우리는 처음에 소비자가 아니라 회사 사람들과 함께 스타벅스 브랜드를 만들어 내었다. ···우선 종업원들에게 투자 하였다. 그들의 열정과 헌신으로 우리의 소매점 파트너들이 커피와 브랜드를 대표하는 좋은 대사들이 되었다. 그들의 지식과 열정이 우리 커피를 고객 사이에서 인기좋게 했다. 그것이 스타벅스 브랜드의 힘의 원천이다. 우리의 파트너들이 느끼는 회사에 대한 애착과 그들이 우리의 고객과 함께 만드는 동질감이 그것이다.
  • 안전이란 미신 같은 것이다.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것도 아니며, 일반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위험을 회피하는 것은, 장기적으로 보면 솔직하게 노출하는 것보다 더 안전하지 못하다. 인생이란 과감한 모험이다. 그렇지 않으면 아무 것도 아니다. - 헬렌 켈러
  • 회사가 성장할 때, 직원들도 성장해야 한다.

Chaos / 카오스

Chaos: Making a New Science
James Gleick

I'm sure that this book, Chaos: Making a New Science, has let many students major physics and research nonlinear dynamics, also known as a chaos theory. This book is published at 1988, when the chaos theory was not spoken around in non-academic world. It's evident by the book's subtitle "making a new science" that the author were trying to introduce the new science to mass. I don't know whether the chaos theory is mature or not. But we can see from this book that there were many areas where chaos theory had its use. Moreover a new area, networking area, has been emerged and are requiring our investigation, where the chaos theory could be a valuable tool.

카오스, 제임스 글리크 지음, 박배식·성하운 옮김/ 1993, 동문사

비선형계의 현상, 즉 카오스 이론을 다룬 교양과학서이다. 저자는 뉴욕타임즈 편집자 및 기자였고 그런 까닭에서인지 흡입력있는 구성과 흐름을 가지고 로렌츠, 만델브로트, 파이겐바움, 리브샤베르등 여러 과학자의 사상을 저자의 언어로서 우리에게 들려준다. 번역 품질이 아쉬울 뿐이었다. 1988년에 출간된 이 책은 상당히 성공을 거두어서 2008년에는 20주년 기념판도 발행되었다. 

생각하기에 사실 모든 복잡한 메카니즘이 모두 카오스 형태를 지니는 것은 아니다. 복잡한 자연 중 그 일부가 카오스로 이해 가능하다는 것이다. 즉 무작위random과 카오스chaos가 아닌 다른 그 무엇도 존재하며 그 부분은 카오스로 다뤄질 수 있는 부분보다 훨씬 거대할 지도 모른다. 하지만 카오스로 모델링될 수 있는 그 일부 - 물리학이 아니더라도 생태학, 생리학, 그리고 최근의 네트워크 이론 - 자체가 우리와 밀접한 부분이기 때문에 충분히 과학으로서의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책에서 다뤄진 여러 과학자 중에서 파이겐바움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어떤 의미에서 예술이란, 세계가 인간에게 어떻게 보이는가 하는 방식에 대한 이론이다. 사람들은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세계를 상세히 알지 못하는 것이 분명하다. 예술가가 성취한 것은, 그 중에서 참으로 중요한 것은 조금뿐이라는 것을 깨닫고 그것이 무엇인가를 간파했다는 점이다.

  • 상대성 이론은 절대적 공간과 시간이라는 뉴턴물리학의 환상을 없애버렸다. (그러나 절대시공간 개념이 따라온다 - HF) 양자이론은 측정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는 뉴턴물리학의 꿈을 깨뜨렸다. 그리고 카오스 이론은 결정론적 예측가능성이라는 라플라스적 환상을 없앴다. 이 세 가지 혁명 중에서 카오스 이론은 우리고 보고 접촉하는 우주, 즉 일상적 차원에 적용된다.
  • 비선형성이란 우리가 어떤 게임을 하는 것 자체가 그 게임의 룰을 변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 로렌츠의 수차watermill
  • 토마스 쿤은 이렇게 말했다."정상적인 조건하에서 연구하는 과학자는 개혁자가 아니라 수수께끼를 푸는 사람이다." 새로운 과학은 기존 과학이 막다른 골목에 다다랐을 때 생겨난다.
  • 평형상태는 중요한 것이었다. 그래서 생태학자들은 평형상태가 없을 수도 있다고는 생각하지 않았다.
  • "과학이 스포츠와 같이 경쟁을 최상이라고 간주하면, 그리고 좁은 범위로 규정된 전문성으로 완전히 후퇴하는 것을 경쟁의 규칙으로 한다면, 과학은 망해버릴 것이다. 스스로 방랑자가 된 소수의 학자야말로 기성 학문 분야의 지적 번영에 필수적이다." - 베노이트 만델트로트
  • 만델브로트는 자신의 독창적 생각을 표현할 때 남들에게 반감을 주지 않도록 신경을 써야만 했다.
  • 많은 과학자들이 계의 비선형 행태의 난류연구에 매달리고 있었다. 당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소립자물리학에 대해 알아야 하고, 양자장 이론에 대해서도 알아야 하며, 또한 앙자장 이론에서 재정규군renormalization group이라고 불리는 구조가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고는 아무도 생각하지 못했다. 또 확률과정stochastic process의 일반 이론과 프랙탈 구조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아무도 몰랐다.
  • 멀리서 바라보면 작아지면서 의미를 잃어버리는 것인가? 축소와 의미상실의 관계는 그리 명백한 것이 아니다. 왜 물건이 작아지면 이해할 수 없게 되는가? // 인식이라는 뇌의 움직임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생각하면서 파이겐바움은 이러한 경험을 이론물리학적 측명에서 분석하려고 참으로 진지하게 노력했다.
  • 뉴턴이 환원주의자reductionist인 반면에 괴테는 전일주의자holist였다. 뉴턴은 색을 분리하여 색에 과한 가장 기본적인 물리학적 설명을 찾아냈다. 괴테는 모든 것을 거대하게 종합하는 설명을 구하여 꽃밭을 거닐고 그림을 연구했다. ···파이겐바움은 괴테의 색채론이 옳다고 생각했다. ···괴테가 생각할 때 보편적이고 객관적인 것은 바로 색에 대한 인식이었다. 실생활에서 빨간색을 정의하는 데 우리의 인식과 무관한 어떤 과학적 근거가 있었던가?
  • 기후climate라는 것이 있는가? 다시 말해 지구의 날씨에는 장기간의 평균치가 있는가? ··· 날씨와 같은 계는 결코 평균에 수렴하지 않은 가능성이 있는가?
    바이퍼케이션bifurcation, 어트랙터attractor
  • 파이겐바움은 보편성을 발견하였으며 그것을 설명해 낼 이론을 만들었다.
  • 파이겐바움: 우리는 사물을 직관하는 방식에서 그렇게 심하게 벗어나지 않으면서 모든 정보를 규합하는 다른 방식이 없음은 진정 알지 못한다. ···결국 이해를 하려면 우리는 기어를 바꿔야 한다. 지금 일어나고 있는 중요한 것들을 우리가 어떻게 이해하는가를 다시 생각해 보아야 한다.
  • 파이겐바움: 어떤 의미에서 예술이란, 세계가 인간에게 어떻게 보이는가 하는 방식에 대한 이론이다. 사람들은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세계를 상세히 알지 못하는 것이 분명하다. 예술가가 성취한 것은, 그 중에서 참으로 중요한 것은 조금뿐이라는 것을 깨닫고 그것이 무엇인가를 간파했다는 점이다.
  • 비선형성은 하나의 계를 불안정하게 할 뿐 아니라 그것을 안정시키기도 한다. ···리브샤베르는 생물 계가 그들의 비선형성을 소음에 대한 방어로서 사용한다고 믿었다.
  • 프랙탈 베이신 경계: 동력학 계의 장기적 형태가 카오스적이 아닐지로도, 카오스는 두 종류의 안정적 행태 사이의 경계에 나타날 수 있다.
  • 카오스 게임: 모든 필요한 정보는 몇개의 단순한 규칙에 코드화되어 있다.
  • (카오스의 형상은) 자연이 단순한 물리 법칙에 의하여 그 자신을 조직하기 시작하였을 때부터, 무한한 인내로 어디에서나 똑같은 것을 되풀이하였을 때부터 존재했을 것이다.
  • 오직 순진한 과학자만이 완전한 모델은 실제를 완벽하게 표현하는 것이라고 믿는다. ··· 그들의 목적이 무엇이건 지도와 모델은 실제 세계를 모방하려고 하면 할수록 간단해져야 한다.
  • 생리학자들은 카오스를 건강생태로도 보기 시작했다. ··· 비선형성으로 인한 주기고정화, 주기적응성등이 계를 충격에서 견뎌낼 수 있도록 견고하고 유연히 한다. ··· 계가 예측하고 미분가능하다고 하는 수학적 건강성이야말로 실은 병적인 것이 아닐까? ··· 생물학적으로 평형상태에 있다고 하는 것은 곧 죽음을 의미한다...

2010년 12월 2일 목요일

Things to Happen / これからの出来事 / 앞으로 일어날 일

앞으로 일어날 일, 호시 신이치 지음, 윤성규 옮김/ 지식여행

"앞으로 일어날 일"은 지식여행 출판사에서 "호시 신이치의 플라시보 시리즈"라는 이름으로 내어 놓은 책들 중 제 25권째이다. 올 봄 일본어 공부중에 접했던 일본의 SF작가 호시 신이치星新一의 단편모음집인 것이다. 단편이라기 보다는 꽁뜨라고 칭하는 것이 나으리라. 저자도 자신의 글을 쇼트쇼트ショートショート, 즉 초단편소설이라고 말하고 있다. 한편이 열 페이지 이내 정도로서, 묘사로 승부하기 보다는 구성과 소재, 그리고 반전을 제공하는 글이다. 이런 글만 1000편이 넘게 발표했으며 반응도 좋아 시리즈가 3000만부 넘게 판매되었다고.

책의 내용은 기대와는 달리 평범한 편이었다. 그러나 작가가 어떠한 스타일인지는 확실히 알 수 있었고 그의 다른 책은 수작들도 많이 있으리라는 기대는 들었지만 쇼트쇼트라는 것이 주는 이야기 전달력에는 한계가 있었다. 어찌 보면 "호시 신이치의 아이디어 노트"인 것. 영화나 게임, 소설등의 창작에 영감을 얻기 위한 방안으로서는 안성 맞춤이다. 그러나 나로서는 누가 "호시 신이치 베스트"해서 뽑아주지 않는 한 이 시리즈의 다른 책으로는 손이 가지 않을 것이다.


Things to Happen by Shinichi Hoshi.

This book is a collection of very short Sci-fi novels by Shinichi Hoshi. The author is famous Sci-fi writer in Japan. His writing style, Short-short as he calls, is a new approach to Sci-fi (or literature) genre. Each one is around 10 pages only and holds minimum elements to be regarded as a story. Because it's too short amount to write details, the author rather put an emphasis on using fresh material, plot, flow, and inspiration which readers can meet with joy. The book can be regarded as rather idea note of sci-fi stories. Creators can be inspired by his story. However, it's true that around 10 pages are surely too short amount to get much impact unless the pieces is awesome.

The 10 Natural Laws of Successful Time and Life Management / 성공하는 시간관리와 인생관리를 위한 10가지 자연법칙

10 Natural Laws of Successful Time and Life Management
Hyrum W. Smith
성공하는 시간관리와 인생관리를 위한 10가지 자연법칙, 하이럼 스미스 지음, 김경섭·이경재 옮김/ 김영사

인생의 모든 행동은 그 결과로써 각자가 정한 삶의 목표에 한 걸음씩 가까와져야만 한다. 인생에서 중요한 가치, 덕목들을 항상 되뇌이면서 그를 향해 노력한다면 그것이 바로 성공한 인생이다. 결과는 따라오기 마련이다. 조금만 합리적으로 삶의 목표를 관리하자.

프랭클린 다이어리로 유명한 프랭클린 코비사의 하이럼 스미스의 주장이며, 절절히 공감한다. 하지만 결국 그의 이야기는 삶에 있어서의 구도자의 자세를 이야기하는 것인데, "모든 것은 다 마음에 있다."라는 것 만으로 모두 해탈의 경지에 들어서는게 아니라는 점을 짚고 넘어가야 한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인생의 덕목을 정하는 것의 중요성 또한 간과해서는 안된다.

2011년, 더 나은 인생을 살아가자.

HO야, 에너지 넘치는 아빠가 될께!
  • 우리가 큰 돈을 들여 소유하고 있거나 획득한 것들이 오히려 우리에게 더 많은 시간을 요구하고 있다. - 괴로운 유한 계층The Harried Leisure Class 중, 스테판 린더Staffan Linder
  • 이제부터 '시간관리'라는 생각은 접어두고 '사건 컨트롤'이라고 생각해야 한다. 시간관리 하면 으레 시계와 연관지어 생각하는 경향이 많다. 하지만 진짜 문제는 과연 '나는 어떤 사건들을' 컨트롤 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 일을 잘게 나눈다면 특별히 어려운 일이란 없다. - 헨리 포드
  • 사고의 폭이라는 것이 어휘력 이상으로 깊어지지 않는 법이다.
  • 마음의 평화는 지금 내가 하고 있는 일과 내가 믿는 바가 일치하고 조화를 이룰 때 얻을 수 있다.
  • SMART 목표: 구체성Specific, 측정 가능성Measurable, 행동 지향성Action-oriented, 현실성Realistic, 적시성Timely
  • 의지가 강한 사람의 단호한 결심을 막거나 방해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기회니 운명이니 숙명이니 하는 것은 없다. - 엘라 휠러 윌콕스Ella Wheeler Wilcox
  • 뭘 해야 하는지 이미 알고 있는데, 뭐하러 시간을 내서 계획한담: 하지만 그렇게 뻔한 일이 아니라면? 가장 소중한 가치와 관련이 있는 일이라면? 스스로 자문해 보라. 당신의 일상을 차지하고 있지 않은 일들이 많이 나타날 것이다. 이런 유형의 미래형 사건들에게는 일일계획이 필요하다. 아니, 필수적이다.
  • 일일 업무 리스트에는 당신의 꿈으로 이어지는 과제가 반드시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 인격이란 간단히 말해서 당신이 하겠다고 한 일을 그대로 하는 것을 말한다. 그 정의를 보면, 인격이란 가치 있는 결정을 내린 후 그것을 결정할 때의 감동이 사라진 다음에도 그것을 실천에 옮기는 능력이다.
  • 리얼리티 모델을 통해서 당신의 인생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분명한 그림을 볼 수 있고, 시각적인 도움을 통해 왜 그렇게 되는지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당신의 가치가 행동에 영향을 미치기 전에 먼저 이를 평가해 볼 수 있게 하는 기회를 제공해준다.
  • 나 메세지를 전하라: 나한테 문제가 있습니다. 보니까 이렇더군요. 그러면 내가 이런 느낌을 받습니다. 당신은 우리 관계가 좋아지기를 바랍니까 아니면 나빠지기를 바랍니까?
  • 하나의 인격으로서 10점 만점의 인간이 될 수 없다면 어떠한 사회적 역할에서도 10점을 넣을 능력이 없다.
  • 맹목적인 수용, 순응: 대다수 사람이 참으로 절망적인 삶을 살고 있다. - 헨리 데이빗 소로우Henry David Thoreau
  • 교육: 교육은 2차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다. 삶의 변화가 그것이다. ···의욕을 가지고 배우려는 사람의 인생에 변화를 일으키려면 가르치는 사람이 지식 이상의 뭔가를 풍부하게 가지고 있어야 한다. 교육이란 에너지의 이전인 것이다. 자신의 인생이 에너지로 충만한 교사는 그 에너지의 일부를 학생들에게 이전시켜 학생들을 생기가 넘치게 만든다.
  • 리더가 해야 하는 일은 사람들이 일을 하게 만드는 것이다. 단, 그들이 해야 하는 일이어서가 아니라 스스로 원해서 하게 만들어야 한다.

After setting up your lifelong virtues, let all your acts follow those. If you care a virtue, strive yourself to act according to the virtue. Because you cannot be truly happy if your doing is separate from your life virtue.

Top-down approach for a life. Hyrum Smith confidently tells us in his book, The 10 Natural Laws of Successful Time and Life Management. I agree with him. His way depends much on one's discipline. One's discipline is a must, I know. But it's too ideal to say that there is no hard part if one who eagerly want. So we need supplemental strategies. Luckily, we already have The Path of Least Resistance and Getting Things Done. I expect wonderful chemistry from these three ways of life.

2010년 12월 1일 수요일

The Epic of Gilgamesh / 청소년을 위한 길가메쉬 서사시


청소년을 위한 길가메쉬 서사시, 김산해 지음/ 휴머니스트.

오늘 이야기 할 책은 인류 최초의 영웅 신화이며 모든 신화에 영향을 미쳤다는 길가메쉬 서사시이다. 비록 지금은 서구 문명이 득세하고 있으나 먼 옛날에는 메소포타미아 문명이 번영하던 시기가 있었다. 메소포타미아는 지금의 이라크 일대, 그 유명한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이 만나는 부분을 일컫는다. 메소포타미아는 북부 앗시리아와 남부 바빌로니아으로 나뉘는데, 남부 바빌로니아는 다시 북쪽 악카드와 남쪽 수메르로 나뉜다. 메소포타미아 문명은 이 수메르에서 발생된 문명이고, 인류 최고最古의 문명이다. 그 전에도 물론 인간들은 살아왔겠으나 국가를 형성하고 문명을 발달시켜 그 문명을 문자(상형문자)로 점토판에 기록하여 남긴, 최초의 문명. 길가메쉬는 기원전 2700년 우르크 (수메르도시국가중의 하나)를 다스린 왕이었고, 길가메쉬 서사시는 그의 일대기이다. 

반인반신의 영웅 길가메쉬, 그의 라이벌 엔키두. 엔키두에게 지혜를 준 여인 샴하트. 길가메쉬와 엔키두의 대결, 친구가 되는 두 영웅. 사자를 잡고, 신의 산지기 후와와를 무찌르는 두 사람. 신에게 도전한 댓가를 치뤄야 하는 두 사람. 길가메쉬를 대신한 엔키두의 죽음. 길가메쉬의 영원한 생명에의 갈망. 신에게서 인간을 구하려는 존재 우트나파쉬팀. 대 홍수와 방주. 그리고 죽음.

지금으로부터 약 오천년전의 사람들의 이야기가 그리 재미있겠는가라고 생각하기 쉽다. 나도 그랬다. 굉장히 성긴 뼈대에 마찬가지로 치밀하지 못한 묘사를 기대했고, 단지 최초의 신화, 최초의 이야기가 어떤 것인지 궁금해서 보게 된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나의 오판이었고, 펼쳐진 것은 길가메쉬 왕에 대해 써내려간 흡입력 있는 훌륭한 이야기였다.  '수메르인이 최초로 문명을 열었다 한들 오천년 전의 미개한 문명일 뿐이다. 그들의 생활, 문화, 생각하는 방식, 상상력 모두 비교가 될 말인가.' 라고 오만하게 생각했던 나였다. 그러나 아니었다. 물론 논리를 바탕으로 발달한 과학 문명 자체는 비교할 수 없다. 그러나 인문학적인 면을 생각해보자면 인간이 과연 지난 오천년 동안 이룬것이 무엇인가라는 질문 조차 떠오르게 된다. 그들이 생각하고 고민하고 했던 것은 지금 우리와 다를 바 없는 것이다. 결국 인간은 다 같은 인간일 수 밖에 없는건가? 

획득형질은 유전되지 않는다는 것과 오천년은 진화면으로 보았을때 굉장히 짧은 시간이라는 것을 이미 알고 있음에도, 오천년전의 이야기를 보았을 때 그들이 나와 같은 수준의 인간 - 이러한 서사를 기록하여 후대에 남긴다는 점에서 더 훌륭한 인간이라고 마음속은 사실 알고 있다 - 이라는 사실을 느꼈을 때 굉장한 당혹감을 느끼고 만 것이다.

그렇다면 사람은 어떻게 살아야 하는 걸까. 무엇을 남겨야 하는 걸까.


The Epic of Gilgamesh by San-Hae Kim, Publisher Humanist.

What do you think about the people who lived 5000 years before? There were no computers, TVs, radios, newspapers, and so many things now we take account as commodity things. Even there were no pens and papers. It's so pitiful that they have nothing civilized. But, did they live a primitive life because they lacks so many things? If you think so, this book may change your mind: The Epic of Gilgamesh, written in around B.C. 2700. If they are primitive ones, their stories must be primitive. However, this epic is not. It's based on episode. However the thought and feelings of human are well depicted at the same time. Moreover, interesting themes, such as hero, arch-rival, friendship, femme fatale, redemption, immortality, a prophet to rescue human, great flood and an ark are presented. Definitely those are not ones primitive people can thought of.

We are same humans like the ones 5000 years ago. Then, how to live on and what to leave behind us? This book let us think about fundamental questions.

Brain, Too Evolved / 進化しすぎた脳 / 교양으로 읽는 뇌과학

進化しすぎた脳
池谷 裕二
교양으로 읽는 뇌과학, 이케가야 유우지 저, 이규원 역/ 은행나무

    12월 1일이다. 2010년도 저물어가는 즈음, 올해의 책을 꼽아 보자면 Future of Management, 피에트라 강가에서 나는 울었네와 함께 이 책을 고르겠다. 이 책은 저자가 2004년 여덟명의 중고생을 대상으로 한 열흘간의 뇌과학 강의를 기록한 것이다. 사실 이 책은 여름에 읽었는데, 그에 대한 감상을 제대로 쓰지 못해서 반년이나 책장에 두고 있었다. 감상을 써 볼까하고 책상에 앉았지만 정작 내용이 잘 기억나지 않는다.  뇌, 그리고 뇌에 대한 연구에 대하여 전반적인 이야기를 하고 있으니 사실 기억나지 않는게 당연할 것이다. 그러나 왜 이 책에 크게 감동하였는지는 확실히 알고 있다. 뇌, 그리고 뇌에 대한 연구 내용 자체는 일반 교양 과학서에 불과할 지 모르겠다. 그러나 그 이야기하는 방식이 이 책을 돋보이게 한다. 파인만Feynman이 자연의 이치를, 그리고 그를 파고드는 방법을 설명하는 데에 탁월한 물리학자였다면, 이케가야 유우지池谷裕二역시 인체의 신비를, 그리고 그에 접근 하는 방법을 너무나도 놀라웁게 설명하는 것이다. 즉 훌륭한 선생이다. 

    책표지에는 저자의 말이 하나의 캐치로서 실려있다. "만약 내가 고교시절 이런 강의를 들었더라면 틀림없이 인생이 달라지지 않았을까?"

    맞다. 그랬다면 생리학쪽으로 나아갔을지도 모르겠다.

    뇌과학 자체도 흥미로운 것은 확실. 체크항목이다.

    • 인간은 언어의 노예: 언어로 존재하지 않는 것은 연상하기가 어렵다. 사람들이 자유롭게 발상을 하고 있는 것 같아도, 참으로 의외의 사실은, 그가 어떤 언어를 사용하느냐에 단단히 묶여 있다는 것이다. 즉, 속박을 받고 있다는 말이지.
    • 자유의지와 뇌의 명령: '움직이자'라고 생각하기 이전에 이미 운동전령이라는 운동을 프로그램하는 부분이 움직이기 시작했다. 결국 '움직이자'라는 쿼리아가 먼저 생겨나고, 그에 따라 몸을 움직여서 버튼을 누르는 것이 아니라 먼저 무의식적으로 신경이 활동하기 시작하고, 그 무의식의 신경 활동이 손 운동을 촉발해서 '버튼을 누른다'라는 행동을 낳고, 동시에 뇌에 쿼리아, 즉 '누르자'라는 의식이나 감각을 만드는 것이다.
    • 산산히 분해하면 이해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진자 끝에 진자를 하나 더 연결하면 어떨까? 결과는 아주 복잡해서 예측할 수가 없다. 신경도 이와 비슷해서 하나일 때는 뭐든지 알 수 있다. 두 개가 되면 가까스로 실험을 할 수 있지. 하지만 세 개가 되면 무슨 일이 일어날지 더 이상 예측하지 못한다. 복잡계다. ... 사물은 산산히 분해한다고 파악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 아이디어는 어디에서 얻나요? 아이디어? ··· 그런건 문득 떠오르는 거야, 어느 날 갑자기. 과학자라면 다 그래. 그런걸 세런디퍼티serendipity라고 한다. ··· 결국 정확한 지식을 얼마나 많이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 아이디어를 생각해 낼 수 있느냐 없느냐가 결정된다. 발견이나 발명은 신이 주는 선물이 아니라, 역시 평소의 공부나 노력이 주는 선물이라는 것이지.
    • 인간은 '몸'이 아니라 '환경'을 진화시키고 있다: 우리는 우리가 하고 있는 일의 의미를 분명히 인식해 두어야 한다. 현재 인간이 하고 있는 그런 일들은 자연도태 원리에 반하는 것이다. 말하자면 '역진화'인 셈이지. 우리는 현대 의료기술이 없었다면 배제되었을 유전자를 보존하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인간은 이제 진화를 멈추었다고 해도 좋을 것이다. 그 대신 인류는 이제 자기 몸이 아니라 '환경'을 진화시키고 있다. ··· 진화의 새로운 방법이라고 할 수도 있겠지. 
    • 이 강의는 앞으로도 계속 성장해 갈 이케가야 유지라는 사람의 뇌 과학관이 지금까지 걸어온 발자취이기도 합니다. 여기에는 지금의 제 모습이 투영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스스로는 제 자신이 고교 시절에 이런 일련의 강의를 들었더라면 틀림없이 인생이 달라지지 않았을까, 하고 생각할만한 내용과 밀도라고 자부합니다.

    Brain, Too Evolved, Yuuji Ikegaya

    Dr.Ikegaya is a great writer and a great teacher. In his book "Brain, Too Evolved", he tells us fascinating stories around our brain. You surely know that knowing and explaining are different one, aren't you? He is a best one in explaining things he knows. In the subject of brain, he tells us what is so special, how come does it go, and why it is important. Wonderful thing is that he explains as if he does to a child. The result is moved one; I'm deeply moved. I'm moved by wonderful architecture of brain, by the author's clear explanation, and by great nature. Author said in the epilog that he want this book become a life-changing book. Surely this book will change readers life, when they read this at certain time, I agreed. The feeling is similar to one I got when I read about Mr.Feynman.

    I strongly suggest this book to anyone.

    2010년 11월 30일 화요일

    The Norse Myths / 북유럽 신화

    The Norse Myths
    Kevin Crossley-Holland

    북유럽 신화, 케빈 크로슬리-홀런드 지음, 서미석 옮김/ 문학지성사

    게임과 만화, 그리고 판타지fantasy를 좋아하는 HF. 오딘,로키,라그나로크 등 북유럽 신화에서 파생된 여러 조각단어들만은 들어왔다. 그리고 바이킹족의 문화답게 북유럽 신화는 그리스 로마 신화와는 다르게 남성적이고 전투적이라는 것은 알고 있었다. 신족과 거인족이 조화를 이루지만 그들은 운명지어진 라이벌이기 때문에 결국 최후의 전투를 가지고 그곳에서 다 죽는다는 것. 참 독특한 세계관이다. 북유럽인들이 접한 바다와 척박한 기후에 기인하였을 것이다. 그런 상황에는 아무래도 낭만과 사랑의 이야기는 어울리지 않으니까.

    천지창조에서 라그나로크까지의 32개의 에피소드. 서사 또한 부드럽고 자세하다기 보다는 선 굵은 진행이다. 
    독특한 세계 - 아스가르드,미드가르드,니플헤임으로 이루어져 있는 세계, 그리고 그를 관통하는 세계수 이그드라실과 세계를 둘러싼 뱀 요르그문트 등 - 그리고 그 안에서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인간화 되어 있는 신들, 그 독특한 성격이 재미의 기반을 다지고, 그 위에 세상의 창조, 신들간의 전쟁, 신과 인간과의 관계, 신들사이의 관계 및 갈등, 영원한 라이벌인 거인족과의 알력, 그리고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는 로키, 그리고 최후전쟁 라그나로크가 흡입력있는 진행으로 펼쳐진다. 거기에 더해 독특한 신들의 모습과 신묘한 신물神物들의 등장은 북유럽 신화가 판타지의 한 시발점임을 알려주고 있다. 

    독특함과 웅장함 그리고 장엄함의 성격의 매력에 힘입어 많은 파생문화, 즉 게임, 애니메이션, 판타지문학들의 모체가 되고 있는 북유럽 신화. 흥미롭다. 그리스 로마 신화도 재미있지만, 그와는 전혀 다른 매력이 존재하는 것이다.

    신화 자체에 대한 흥미는 젖혀놓고 생각해 볼 것이 있다. 수십년 동안의 GDP순위에서 북유럽국가들이 예외없이 상위에 위치하고 있다. 결국 그것은 사람이 다르기 때문이다. 사람이 생각하는 방법이 다르기 때문이다. 사람이 생각하는 방식, 그것은 곧 문화이다. 그리고 신화에는 문화가 투영되어 있다. 그 점을 생각하면서 이 책을 읽는다면 조금 다른 느낌으로 다가올 것이다.


    For a long time, northern Europe countries hold high position in countries GDP ranking. It's said that northern Europeans are most creative people in the world. If it is so, what could be the reason? We could get an answer from investing their culture.

    Northern Europe is not comfortable place to live. Cold weather and strong winds are against farming. Facing the worst environment, they had to become strong and wise to survive. They had to go conquest because they had nothing. They should unite not to lose war. Valor and sacrifice were their virtue. Sea was their home and men became stronger when they're in sea. As Viking, they once conquered the significant part of Europe. Now,  they boast superior national power.

    It's their culture who made them strong. In other worlds, their culture was formed from their struggle for a long time. We could glimpse the culture from this book, The Norse Myth by Kevin Crossley-Holland. The world of Odin, Tor, Loki, and many other gods are presented epically, from Creation to Ragnarok. It's very different myth from Greece-Roman myth, which has its roots on flourishing lands. It can be safely said that if Greece-Roman myth is for youth, Norse myth is for adults.

    2010년 11월 29일 월요일

    [scrap] Franklin Covey : GTD = Top Down : Bottom Up

    I recently read three books: Natural Laws of Successful Time and Life Management, Getting Things Done, and Time Power. While I was planning writing about these books here, I came across with following article. I pump it here before I blog about those.



    from Introduction to the Middle Way Method, in D*I*Y Planner

    From studying all these planning systems, I noticed that they fell into two categories: Top Down or Bottom Up. The first is Top Down Planning, and the Franklin Covey methodology provides a great example of this type, which says "Know who you are, and work from there to become who you want to be." The second type is Bottom Up Planning, and Getting Things Done (GTD) system, follows this methodology. GTD is designed to clear all of the "Stuff" in your life, and process it effectively. 

    A Life in Science / 스티븐 호킹의 삶과 사랑

    Stephen Hawking A Life in Science
    Michael White and John Gribbin
    Dr. Hawking's new book Grand Design is out and maintains top-selling position now. I read this book, A Life in Science, to find about him. After reading this book, I've concluded that though he is a good scientist and a respectable human who has overcome his deficiency with strong will, he is not a great scientist like Issac Newton or Albert Einstein. Moreover, this book is poorly organized. (2nd edition might be improved.) If you want to know about him, I suggest you find other biography.

    스티븐 호킹의 삶과 사랑, 마이클 화이트·존 그리븐 저, 과학세대 역/동아일보사,1992


    2002년에 저자가 개정판도 낸 책이지만, 1992년 판본으로 읽었다. 대학 4학년때구나.

    뉴턴, 아인슈타인에 이은 이 시대 최대의 물리학자라고 뒤 표지에 써 있고, 실제로 그렇게 말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호킹복사Hawking radiation의 발견이 그 정도 수준은 되지 않으리라. 루게릭병ALS을 이겨내면서 연구에 매진하는 인간적인 측면이야 경의를 표할 일이지만, 호킹의 일반 대중에 대한 명성은 병이라는 면과 함께 자기 포장의 능력에 상당수 기인하였을 것이다. 고집세고, 괴짜에 독선도 강한 그런 전형. 어찌되었든 과학의 삶으로 인해 주어진 조건의 1000%를 넘게 살아나간 그에게 박수를 보낸다. 주어진 조건의 100%를 살아나간다는 것, 쉽지 않지 않는가.

    책 자체는 추천할 만 하지는 않지만 물리학, 또는 스티븐 호킹에 대해 관심이 있다면 한 번 정도 볼만은 하다. 호킹의 신간 그랜드 디자인Grand Design이 나왔다는 소식에, 마침 호킹에 대한 책이 서가에  있길래 집어들었고, 호킹에게 관심도 특별히 없었고 번역도 최악이었지만 세상의 이치를 설명듣는 재미에 금방 보아버렸다. 남들 중학교때 감명받았다는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cosmos도 보아야 하려나보다...


    • 대다수의 사람들은 빅뱅에 대해 아직도 이런 이미지를 갖고 있다. 마치 폭탄이 터지면서 파편을 쏟아내듯이 은하들이 우주공간을 향해 돌진해가는 모습으로. 하지만 그런 생각은 잘못된 것이다.
    • 사실 우주는 하나의 블랙홀이다. 유일한 차이점은 스스로 팽창하는 과정에서 매우 낮은 밀도의 블랙홀로 발전하며, 그 블랙홀의 지평으로 매우 완만한 곡선을 그리며 빛이 움직이는 것이다.
    • 포퍼의 과학철학이 전개한 핵심적인 내용은 '과학적 방법'이라는 전통적인 접근방식, 즉 뉴턴과 갈릴레이의 방법론에 의해 채택된 접근 방법이 사실상 부적합하다는 것이었다. 첫째는 관찰이나 실험이나 그 이후 귀납적 설명을 위해 이론을 만들고 가설을 만든다. 실험을 통해 가설을 증명하려고 시도한다.··· 포퍼는 이 과정을 거꾸로 뒤집어서 다음과 같은 접근방식을 제안했다. 어떤 문제를 택한다. 어떤 일이 벌어지는가를 설명하는 이론이나 해결책을 제안한다. 그 이론으로부터 추론할 수 있는 시험 가능한명제를 만든다. 추론한 명제들에 대한 논바을 시도하기 위해 실험이나 시험을 행한다.··· 포퍼의 체계에서는 과학자가 보다 나은 명제를 낳기 위해 자신의 이론을 스스로 반박하려 한다는 점에서 전자와 큰 차이를 갖는다.
    • 빅뱅으로 시작되는 시간의 시작과 빅 크런치로 끝나는 시간의 끝: 무경계 조건. 호킹은 빅뱅을 시공간을 상징하는 구체의 극점으로 상상해야한다고 말했다. 즉, 우주는 자체 완결적이라는 것이다.
    • 자유 풍조와 성 '개방'의 진정한 의미는 모든 여성들을 착취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시스템일 뿐이었고, 그런 노골적인 시스템이 언제나 가능한 피임과 변화된 모럴이라는 달콤한 사탕발림으로 감추어져 있었다. 
    • 제인은 말했다. "물론 그건 행복한 경험은 아니었어요. 공부를 할 때는 아이들과 놀아주어야 한다는 생각이 뇌리에서 떠나지 않았고, 아이들과 놀이를 할 때면 공부를 해야 한다는 강박관념에 시달렸지요."
    • 새로 발간할 대중서에 대한 첫 회의에서 호킹은 자신의 경제적 형편에서부터 이야기를 꺼냈다. 그것은 루시의 교육과 간호사 비용을 지불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돈을 벌지 않으면 안된다는 이야기였다.
    • 사람은 삶이 공정하지 못하다는 것을 충분히 깨달을 수 있게 될 때까지 성장해야 한다. 당신은 스스로가 처해있는 상황 속에서 가능한 한 최선을 다할 뿐인 것이다.

    Six Easy Pieces / 파인만의 여섯가지 물리이야기

    Six Easy Pieces: Essentials of Physics By Its Most Brilliant Teacher
    Richard P. Feynman

    Six Easy Pieces is selected lectures from his well-known book "Lectures on Physics". Feynman is known for his way of thinking and his way of approaching nature. In my world, his way could be termed as pragmatic way with curiosity as bases. His way is understanding key concepts and then applying them to everything. Everything not only means physics but many other things like lock-picking, calculation, NASA investigation, or so. I suspect that he might not had anything particular to struggle with. "Hard? How hard? Let me see... Hmm... How come it happens.. Aha.. How about applying X to this case? Bingo! Can I return to my bongo playing?" His typical day might like this I think; We call the man like him as a genius. He's been my hero from my early childhood. "Surely you're joking, Mr. Feynman" was the book I've read over and over. I dreamt of being a physicist since then. As a middle-aged man, I dream that dream again.


    파인만의 여섯가지 물리이야기, 리처드 파인만 강의, 박병철 옮김 / 승산

    파인만 강의록The Feynman Lectures on Physics중 일반인이 이해하기 쉬운 강의, 즉 교양 과학 수준으로 진행된 여섯개를 추린 것. 내용 자체는 재미있다. 무엇이 재미있느냐 하면 자연의 이치가 재미있고 그것을 쉽게 풀어내 주는 해설이 재미있다. 하지만 일반인에게는 너무 어렵고 이공학도에게는 너무 쉬운 기획이 되지 않았나 한다. 이걸로는 성이 차지 않아 파인만 강의록으로 가고 싶어졌다. 파인만 강의록이 이 내용의 연장선이라면 그 책은 "파인만의 물리나라 모험이야기"라고 불릴만한 흥미진진한 것이니까.

    종종 느끼는 것이지만 이 세상에 잠자고 있는 많은 재미들, 성취감을 얻기 위해 중요한 것은 그를 이해할 수 있는 준비 작업이 필요하다는 것. 장미 한 송이를 앞에 두고 파인만은 대자연의 조화와 법칙에 감탄했다는데. 배우고 생각하지 않고서는 인간은 충분히 성장할 수 없고, 충분히 즐길 수 없는 것이다.

    p.s. 1. 양자역학에 대해서 흥미가 붙고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여러가지 생각이 떠올랐는데, 바로바로 메모를 해 놓지 않으니 지금 이 글을 쓰고 있는 시점에는 바로 잊게 되었다. 메모의 중요성을 깨닫고 있다. 물리학의 끝은 양자역학의 비직관적인 면들에 대해서, 직관적인 설명을 할 수 있어야 하는게 아닐까.. 라는 생각을 했던것 같은데, 잊었다.
    p.s. 2. 아, 박병철 박사의 번역은 굉장히 훌륭하다는 말을 빼놓을 뻔 했다. 과학서 번역의 모범을 보여주고 있는 그의 번역. 지금 읽고 있는 다른 책 "우주의 구조"에서도 느끼고 있지만, 그는 훌륭한 번역가이다.
    • 그는 고립된 공간에서 오로지 연구에 파묻히거나, 돌연 새로운 분야에 뛰어들어 갑작스런 재능을 발휘하는 식의 천재가 아니었다. 그의 주특기는 물리학의 주된 현안을 자기만의 방식으로 접근하여 새로운 관점을 만들어내는 것이었다. ··· 그는 마치 책을 읽듯이 자연을 읽어내며, 자신이 발견한 것을 전혀 지루하지 않게, 그리고 복잡하지 않게 설명하는 비상한 재능을 갖고 있었다.
    • 수용할 자세가 되어있지 않은 학생에게 열성적인 교육은 별 효과가 없다. - 기본Edward Gibbon
    • 게임 자체를 완전히 분석하지 못한 상태에서 우리가 추측해낸 규칙들의 진위 여부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 거기에는 대략 세가지 방법 이 있다. (1) 단순한 구조의 경우 규칙에 대한 예측을 검증한다. (2) 규칙으로부터 유도된 다소 불분명한 규칙을 이용한다. (3) 근사적인 방법approximation은 이용한다. 복잡한 과정들을 일일이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대략적인 이해로부터 실마리를 풀어간다.
    • 불확정성인 원리에 의해 절대온도 0K에서도 원자는 움직여야만 한다. (HF: 절대온도 0K에서 원자가 움직인다기 보다는, 움직이지 않되 위치를 알 수 없다가 정확하지 않을까)
    • 광자와 중력자는 질량이 0이다. 여기서 질량이 0이라 함은 정지질량rest mass이 0이라는 뜻이다. 따라서 정지질량이 0인 입자들은 단 한순간도 멈춰있을 수가 없다.
    • "한 잔의 와인 속에 우주의 모든 것이 담겨 있다." ··· 우리의 보잘것없는 지성이 와인 한잔을 놓고 물리학, 생물학, 지질학, 천문학, 심리학 등을 떠올린다 해도, 자연은 그런 것에 전혀 관심이 없다. 그러므로 와인의 존재 이야를 기억하면서 그것과 알맞은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라. 두 눈을 부릅뜨고 와인 잔을 뚫어지게 바라볼 필요는 없다. 이 얼마나 향기로운 와인인가······ 마시고 다 잊어버려라!
    • 에너지의 진정한 본질은 무엇인가? 이것은 현대 물리학조차도 해답을 알 수 없는 물리학의 화두이다.
    • 보존법칙: 1. 에너지 보존 "모든 물리 법칙은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다". 2. 선 운동량 보존 "실험장소를 어디로 정하건, 동일조건하에서의 실험결과는 모두 같다." 3. 각 운동량 보존 "물리계를 바라보는 각도를 아무리 바꾸어도 물리법칙은 불변이다." 4. 전하 보존 5. 중입자, 바리온baryon 보존 6. 경입자, 렙톤lepton 보존
    • 인간의 지성이 뛰어나다고 경탄만 할 게 아니라, 가끔씩은 우리 인간이 알아낸 법칙에 따라 아름답고 우아하게 돌아가는 자연을 관망하는 자세도 필요하다.
    • 양자적 행동

    L'homme qui Plantait des Arbres / 나무를 심은 사람



    L'Homme Qui Plantait Des Arbres
    Jean Giono



    나무를 심은 사람, 장 지오노 지음, 김경온 옮김/두레


    어느 명사의 "내 인생을 바꾼 책"이라 하여 접한 책이다. 원문 자체는 오륙십 페이지 가량으로 무척 짧으나 두레출판사에서는 해설을 집어넣어 이백페이지짜리 양장본으로 출판했다. 그럴 필요 있나 싶다. 어린왕자를 팔백페이지 해설을 붙여서 내어 놓은 셈인 것이다. 어찌됐든, 내용은 간단하다. 저자가 1913년 여행 중 만난 양치기이야기이다. 양치기 엘제아르 부피에는 벌거숭이 산에 하루에 백개씩 도토리를 심었다. 아내도 죽고 아들도 죽었다. 혼자 심었다. 십년 후에 또 가 봤더니 계속 심고 있었다. 십년 전의 도토리는 작은 나무들이 되어 있었다. 그 십년후에도 계속 심고 있었다. 이십년이 흘러서야 근처의 산림 감시원이 알기 시작했다. "천연 숲이 생기다니!" 그는 이 숲이 왜 생긴지는 모르고 단지 숲이 생긴 것만 알 뿐이었다. 이 때에 엘제아르 부피에는 이미 집 근처는 나무가 다 자라서 집에서 12km떨어진 곳으로 나무를 심으로 다녔다. 1935년에야, 어느 한 인물에 의해 "숲"이 생겨났다는 것을 사람들이 알게 되었다. 1939년의 전쟁때도 그는 나무를 심고 있었고, 1945년에도 그는 87살의 나이로 나무를 심고 있었다. 그 때에, 황무지였던 곳은 생명이 넘치는 숲으로 변해있었고, 놀라웁게도 고장 자체가 건강과 번영으로 가득 차 있었다. 엘제아르 부피에는 1947년에 세상을 떴다.

    인간의 의지 앞에 장애물은 없다...라는 것 보다 내 눈에 들어온 것은
    처음 황무지에 그가 나무를 심기 시작한 때는 55세였다 라는 것.

    그래 늦지 않아.

    This short piece presents the magnificent result of a man's effort. A man began to plant acorns to wilderness at his age 55. He wanted to change his surroundings to better one. He planted 100 acorns a day and he did it alone. His effort continued over thirty years. Wilderness has turned into mountains with fresh forest. Dry land has turned into fertile soil and desolated towns has revived into joyful one. He did all these things alone, without hesitation, with firm belief. It's awesome, isn't it? 

    The title of this piece is "The Man Who Plant the Trees" for English.

    2010년 11월 24일 수요일

    HO: My Head Hurts / 머리가 아파요

    지난주 목요일 서울 출장 가는 김에 HO와 HM도 같이 서울 올라와서 본가에서 2박하고 내려왔다. 

    금요일엔 모처럼의 나들이. 롯데 월드에서 크리스마스 시즌을 맞아 여러가지 공연을 하고 있다. 캐롤 메들리, 신데렐라 뮤지컬, 크리스마스 퍼레이드 등 즐거웠다. 신데렐라 뮤지컬에 좋은 자리를 확보하기 위해 내가 한시간 반 동안 앉아있었다는 사실! HO야 아빠는 최선을 다하고 있단다.

    토요일에는 간단한 이태원 구경 & 식사. 그리고 귀가하였다. 아래의 사진은 지하철 역 근처의 피자리움.


    일요일은 집안 청소후 조용히 보냈다. 저녁에 처형 생일이라서 같이 식사 하고,  HO를 예뻐하는 처조카로부터 옷과 가방을 선물받았다. HO의 기분은 급격히 UP-UP!

    그런데... HO가 집에 돌아 온 후에 머리가 아프다고 하는거다. 왜 그러냐고 물어봤더니 차에 머리꽝 했다는 것. 너무 놀라 계속 다그쳐 물어봤더니 부딪혔다고도, 안 부딪혔다고도 말해 애를 태웠다. 이런... 외상은 없고 구토나 현기증도 없어보여 일단 관찰하기로 했다. 그런데 월요일도 가끔씩 머리가 아프다고 하더니 화요일에는 감기에 걸려버렸다. 감기인지는 모르겠으나 열이 나기 시작했다. 급기야 수요일 아침부터는 일어나서 양쪽 관자놀이를 잡고 머리가 아프다고 울기 시작한다. 덜컥 겁이 나서 일단 소아과에 갔는데, 편도선이 부어있다고하고 두통은 감기에도 나타난다고 하여 열이 내린후에도 두통이 있는지 관찰하자고 한다.

    "머리가 아파"
    "움직이면 머리가 울려"
    이리 말하면서 걸어갈때도 (머리가 흔들리지 않도록) 조심조심 걷는 HO를 보니 가슴이 짠해온다. 괜찮겠지 생각하면서도 겁이 나는게 사실이다. HO야, 무사해야돼!!!

    (11.26. HO는 이제 아프지 않다고 한다. 다행이야..)

    HO might get a car accident. She said she crashed to a car while the car slowly moved backwards and got her head hurt. We'd kept her by us all day except very short minutes and she said she got an accident at that time. Is that Murphy's law?

    I'm VERY regretful. I hope you get well soon, HO. Do not hurt... for your lifetime.

    2010년 11월 21일 일요일

    빛의 속도 c와 상대적 시간

    물리 관련 책을 읽다보면 여러가지 궁금증이 샘솟는다. 스티븐 호킹에 대한 책을 읽고 있는 도중 든 생각을 써보기로 하자

    빛이 (0,0)에서 (1,1)으로 투사된다고 하자.
    빛이 투사됨과 동시에 (1,0)에 있는 관측자가 c/sqrt(2)의 속도로 (1,1)로 이동하기 시작하였다. 빛과 관측자는 (1,1)에서 만나게 된다. 빛은 좌측을 보며 이동한 관측자에게 어떻게 보이는가?

    1. c/sqrt(2)의 속도로 빛이 도달한다.
    2. c의 속도로 빛이 도달한다.
    빛의 속도는 등속 관측자에게 동일하다고 하였으므로 2이며, 정지관측자에게 있어서 소요된 시간인 sqrt(2)/c에 비해, 이동관측자에게 있어서는 c의 속도로 1만큼 이동하였으니 1/c 시간이 소요되었다. 즉 이동관측자의 시간은 정지관측자에 비해 sqrt(2)만큼 천천히 간다.

    이를 일반화 하면 속도가 xc일 경우 시간이 1/x만큼 천천히 가게 되는 것이다. 

    2010년 11월 11일 목요일

    [scrap] 엔지니어로서의 인생 설계

    엔지니어로서의 인생 설계

     -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김종원

    공학설계는 (1) 체계적인 마케팅을 통해서 고객이 요구하는 기능과 제한조건들을 수렴해서 신제품에 대한 고객 요구사항목록을 만드는 ‘제품기획’, (2) 고객 요구사항목록을 충족할 수 있는 설계대안들을 최대한 많이 창안하고 그 중에서 가장 적합한 최종 설계대안을 선정하는 ‘개념설계’, (3) 최종 설계대안을 구체화해서 시제품 레이아웃으로 완성하며, 공학적 해석을 거쳐서 고객이 요구하는 기능과 제한조건들을 충족하는지를 검증하고, 시제품 레이아웃을 이용해서 시제품을 만들고 견실최적설계를 수행해서 그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적인 제품 레이아웃을 확정하는 ‘기본설계’ 및 (4) 제품 레이아웃을 이용해서 제조현장에 출도할 제품제작도면(상세한 조립도 및 부품도)과 자재소요서를 완성하는 ‘상세설계’의 네 단계로 이루어진다.

    특히 지금까지 존재하지 않았던 신제품을 설계하는 창의적 설계의 경우에는 위의 네 단계에서 개념설계 및 기본설계 단계가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개념설계와 기본설계는 체계적인 방법론을 기반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본 교재에서 주로 다루었던 방법론은 크게 아래의 두 종류이다:

     베를린 공대의 Beitz 교수가 쓴 ‘Engineering Design - A Systematic Approach(출판사: Springer, 1996)'라는 교재에서 제시한 방법론.
     Taguchi 박사의 ‘Taguchi on Robust Technology Development(출판사: ASME Press, 1993)'라는 교재에서 제시한 견실설계 방법론.

    그렇다고 해서 무작정 위의 교재에서 기술한 방법론을 옮기려고 했던 것은 아니다. 본 교재에서는 이러한 핵심적 개념이 무엇인지 먼저 기술하고, 다양한 사례들을 이용해서 이러한 방법론을 체계적으로 적용하는 수순과 각 단계에서 유의해야 하는 사항들을 설명하였다. 이러한 방법론을 잘 활용하면 창의적인 신제품 개발을 좀 더 체계적으로 좀 더 짧은 시간에 수행할 수 있으리라고 확신한다.

    이제 마지막 결론으로서 본 교재를 읽은 학생들에게 선배의 입장에서 엔지니어로서의 인생 설계에 대해서 도움이 될만한 이야기를 해주고 본 교재를 끝내려고 한다.

    12.1 인생과 비선형 동역학 시스템

    그림 12-1과 같이 분기선 B-B를 갖는 비선형 동역학 시스템으로부터 얻어지는 궤적을 한번 생각해보자.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점 x는 분기선 B-B를 향해서 이동하다가 분기선 B-B를 만나면 PL, PU, NU, NL 등의 여러 가지 수많은 궤적 중의 하나로 분기된다. 수많은 궤적 중에서 어느 것으로 분기되는지는 분기선 돌입 직전의 점 x의 상태에 따라서 결정된다. 점 x는 일정한 시간 뒤에 다시 분기선 B-B를 만나게 된다. 그러면 다시 분기선에서 돌입 직전의 상태에 따라서 PL, PU, NU, NL 등의 수많은 궤적 중의 하나로 분기된다. 분기선을 지나고 다음 번 분기선을 만나는 시간도 점 x의 상태에 따라서 정해진다.

    조금 거창한 이야기이지만 이러한 비선형 동역학 시스템은 우리 인생에 대한 모델링이기도 하다. 예를 들어서 그림 12-1의 궤적 중에서 PL, PU 등을 포함하는 왼쪽의 궤적들은 ‘행복한 감정을 갖는 상태’를 나타내며, NU, NL 등을 포함하는 오른쪽의 궤적들은 ‘불행한 감정을 갖는 상태’이며, 각 궤적들 중에서 바깥쪽은 그 중에서 더 좋고, 안으로 갈수록 더 나쁘다고 생각해보자. 그리고 내가 바로 점 x로서 이러한 비선형 동역학 시스템의 궤적을 시간을 따라서 움직인다고 생각해보자. 그렇다면 내가 PU의 궤적에 있는 순간은 매우 행복한 상태가 되며, NL의 궤적에 있는 순간에는 너무나 불행한 상태가 된다는 것을 말한다.

     
    그림 12-1 분기선 B-B를 갖는 동역학 시스템으로부터 얻어지는 궤적

    점 x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지속적으로 분기선을 지나면서 분기를 거듭하는 것과 같이 나도 인생을 살아가면서 끊임없이 수많은 매우 다양한 분기선을 만나고 분기를 거듭한다. 그리고 분기선에서 어디로 분기되는가에 따라서 미래의 인생에 큰 영향을 미칠 수도 있고 매우 사소한 영향만 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서 학생식당에 가서 메뉴 A를 먹을 것인지 메뉴 B를 먹을 것인지 결정하는 순간을 생각해보자. 식당에 들어가는 순간은 분기선에 막 돌입하는 때와 같다. 그리고 무엇을 먹을 것인지 결정해서 말하는 순간이 바로 분기하는 순간이다. 그러나 이것은 미래에 미칠 영향이 그렇게 크지 않다고 생각되는 사소한 분기선이다(그러나 생각과는 달리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있다. 식생활 습관의 하나이므로). 그런데 대학입시를 보는 순간은 보편적으로 매우 크고 중대한 분기선으로 생각된다. 합격이라는 궤도로 분기되는지 아니면 불합격이라는 궤도로 분기되는지는 인생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한편 어느 날 첫 담배를 만나게 되는 순간도 중대한 분기선일 수 있다. 그 때 담배를 피우느냐 아니냐가 이후 인생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나는 인생을 살면서 지속적으로 크고 작은 분기선을 만나며, 분기선에서 내가 어떠한 결정을 하든지 아니면 다른 사람(들)이나 사물(들)에 의해서 나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그리고 그 결정 결과에 따라서 분기선 이후에 PL, PU, NU, NL 등의 여러 가지 수많은 궤적 중의 하나로 분기된다. 나는 PU의 궤적에서 분기선을 만나서 다시 PU의 궤적으로 분기되면 계속 가장 행복한 상태로 남아있게 된다. 그러나 내가 NL의 궤적에서 분기선을 만나서 다시 NL의 궤적으로 분기되면 이 세상에서 가장 불행한 상태로 괴로움을 계속 느끼는 상태로 고립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인생이 그림 12-1과 같은 모델이라면 인생은 분기선을 만날 때마다 왼쪽 궤적과 오른쪽 궤적을 넘나들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여지가 있기 때문에 엄청나게 행복할 때에는 다가올 미래를 걱정하고 경계해야 하며, 지금 당장은 죽고 싶을 정도로 엄청나게 괴로울지라도 미래에 대한 희망을 갖고 현실을 극복할 힘을 내야하는 것이 바로 인생이다.

    그림 12-1의 모델은 여러 가지로 비유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왼쪽과 오른쪽 궤적을 ‘남녀간에 느끼는 사랑의 크기’라고도 생각할 수 있다. 왼쪽은 ‘서로 좋아하는 상태’이고 오른쪽은 ‘서로 미워하는 상태’라고 한다면 남녀간에 느끼는 사랑의 크기는 끊임없이 만나는 분기선마다 달라진다. 인생은 비선형 시스템인 것이다. 만일 인생이 선형 시스템이라면 남녀간에 느끼는 사랑의 크기는 만나는 시간에 비례해서 선형적으로 커져야 한다. 그런데 어디 그런가? 어떤 때는 서로 좋아서 죽고 못 사는 상태가 있지만 그런 상태에서 두 사람이 사소하다고 생각되는 분기선을 같이 만났는데 갑자기 오른쪽 궤적으로 분기되어 서로 너무나 싫어하는 상태로 갈 수도 있다. 그리고는 “그 분기선이 사소한 것이 아니었구나.“라고 후회하기도 한다.

    그림 12-1의 모델은 날씨의 상태로도 해석할 수 있다. 위의 사랑의 크기를 모델링할 경우에는 분기선을 통과하고 그 다음 분기선이 돌아오는 주기가 매우 불규칙하지만 날씨의 경우에는 그 주기를 1일로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왼쪽 궤적은 ‘해가 쪼이는 좋은 상태’, 오른쪽 궤적은 ‘비/눈이 오는 나쁜 상태’로 생각해보자. 특히 구름 한점 없고 해가 좋은 상태는 특히 PU의 궤적이며, 비가 엄청나게 오고 바람이 심한 상태는 NL의 궤적이다. 날씨는 1일을 주기로 해서 분기를 계속하며 기상청은 이 날씨를 예측하느라고 고생을 한다. 그러나 본질적으로 비선형 동역학 시스템을 다루고 있으므로 그 고생은 영원히 계속될 것이다. 오히려 온난화 현상으로 그 고생은 더 심해질 것이니 그것이 더 큰 문제이다.

    주관적이며 인생관의 차이는 있겠지만 그림 12-1의 모델을 ’내가 엔지니어로서 인생을 살면서 나의 직업에 대해서 느끼는 성공과 실패의 크기’로 비유할 수도 있다. 왼쪽 궤적은 성공했다고 느끼는 상태이며, 오른쪽 궤적은 실패했다고 느끼는 상태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면 과연 이 글을 읽는 학생은 미래에 어느 궤적에 주로 많은 시간 남아있기를 바라는가? 당연히 왼쪽 궤적일 것이다. 그런데 이것은 학교를 졸업하고 나서 일어나는 조금 먼 미래의 일이므로 지금 당장 내가 미래에 어느 궤적에 남아있을 것인지 예측을 하는 것은 전혀 불가능하다. 그렇다고 아무 준비도 하지 않고 있을 수도 없다. 그렇다면 지금 나는 무엇을 준비해야 하나? 이것에 대해서 좀 토의해보기로 한다.

    그림 12-2 비선형 동역학 시스템 속에서 분기를 반복하면서 퍼져나가는 점들의 모습

    그런데 여기서 먼저 그림 12-1과 같은 비선형 동역학 시스템은 어떤 특성이 가지고 있는지를 좀 알아보기로 하자. 그림 12-2(a)와 같이 t=0에서 점 x 부근에 수많은 점들이 압축이 되어 모여 있다고 생각해보자. 그리고 그 지점을 확대해보면 수많은 점들이 한 지점에 완벽하게 하나로 겹쳐져 있는 것이 아니라 아주 조금씩이라도 서로 위치가 다르다고 가정한다. 즉, 어느 두 점도 서로 완벽하게 일치된 상태를 공유하지는 않는다는 말이다. 서로 아주 조금씩은 차이가 난다는 것이다. 이제 수많은 점들이 시간이 흐름에 따라서 그림 12-2(b)와 같이 분기선 방향으로 시스템 내에 퍼져나가기 시작한다. 그림 12-2(c)와 같이 t=1과 2 사이에서 처음으로 분기선을 만나면서 분기가 일어난다. 그리고 분기선을 지난 수많은 점들은 분기되는 궤적에 따라서 시스템 내부를 순환하다가 다시 분기선을 만나게 되며 이러한 분기를 거듭하면서 각각의 점은 시스템 내부로 퍼져나가게 된다. 그래서 임의의 시간 t=n에서는 그림 12-2(d)와 같이 시스템 내부 전체에 분포하며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어떠한 점도 시스템 바깥으로 이탈하지는 않으며 그렇다고 어떠한 점도 다른 점과 완벽하게 일치하는 상태를 공유하지는 않는다.

    그림 12-2(d)에서 t=n에서 관찰해보면 점 p와 점 q는 서로 매우 다른 상태에 놓여있다. 실제로는 이 두 점은 t=0에서는 그림 12-2(a)에서와 같이 점 x 부근에서 서로 아주 가깝게 놓여 있던 점들이었다. 그런데 이렇게 가깝게 있던 두 점 p와 q는 왜 t=n에서는 이렇게 극과 극으로 다른 상태가 되었는가? 원인은 바로 초기조건의 미소한 차이에 있다. 비록 t=0에서 두 점 p와 q가 점 x 부근에서 서로 아주 가깝게 놓여 있던 점들이었다고 해도 아주 작은 양만큼은 초기조건이 서로 달랐기 때문에 그 차이에 의해서 어떤 분기선에서 하나는 왼쪽 궤적으로 가고 하나는 오른쪽 궤적으로 가버리게 되는 순간 갑자기 그 상태가 극과 극으로 달라진다. 이렇게 분기를 거듭하다가 보면 t=n에서는 이렇게 극과 극으로 다른 상태가 된다.

    아마도 이런 일은 이론적으로나 가능하지 내가 사는 인생살이와는 다르다고 생각하는 학생이 있을 것이다. 천만의 말씀이다. 예를 들어서 지금 이 강의실에서 강의를 듣고 있는 학생들도 점 x 부근에 몰려있는 점들과 같다. 어느 특정 시공간에 밀집해서 가깝게 몰려있는 것이다. 그러나 그들은 강의실 내에서 앉아 있는 위치만큼 초기조건이 약간씩 다르다. 바로 옆자리에 앉아 있는 두 학생도 떨어져 있는 그 작은 거리만큼 초기조건이 다르다. 이렇게 본다면 강의실 앞에 앉아 있는 학생과 뒤에 앉아 있는 학생은 초기조건이 상대적으로 큰 차이가 난다. 이러한 초기조건의 차이가 학기말에 평균성적 0.1점 차이를 가져오고, 이 작은 차이로 A학점과 B학점으로 분기되며 이것이 또 최종 졸업학점에서 또 작은 차이를 낳게 되고 그 차이가 두 사람의 상태를 어느 순간 정반대의 궤적으로 분기시킬 수 있다. 매년 대학입시에서도 1점 차이로 합격과 불합격으로 분기된다. 사소한 말 한마디에 인생이 바뀌었다고 하지를 않는가? 그렇다면 사소하다고 생각되었던 그 말 한마디는 절대로 사소한 것이 아니었던 것이다. 이것이 바로 비선형 동역학 시스템의 특성이다. 비선형 동역학 시스템은 초기조건에 대해서 민감하다.

    일정한 시간 후에 수많은 상태들 중에서 어떤 특정 상태에 도달하였는지는 초기조건에 따라서 결정된다. 서로 매우 가까운 초기조건들로부터 출발하였을지라도 일정한 시간 후에는 전혀 다른 상태에 도달하게 된다. 초기조건에 대한 민감성은 비선형 동역학 시스템의 중요한 특성이다. 그리고 이러한 이유로 비선형 동역학 시스템에서는 먼 미래의 상태를 예측하는 것은 전혀 불가능하다. 기상청이 정확하게 1년 뒤 오늘의 날씨를 장담할 수 없는 것과 같다. 반면에 외란을 받지 않는 완벽한 선형 동역학 시스템(예를 들어서 스프링-질량 시스템과 같은 것)이라면 100년 뒤의 상태도 완벽하게 예측할 수 있다. 기상청이 1년 뒤 오늘의 특정 시간에서의 태양의 위치는 장담할 수 있는 것과 같다.

    그렇다면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우리 인생이 비선형 동역학 시스템이라면 인생살이도 초기조건에 매우 민감하다는 것이 된다. 그런데 여기서 초기조건이라는 것이 태어날 때 부모를 잘 만나서 태어나는 그런 탄생했을 때의 나의 조건을 말하는 것이 절대 아니다. 항상 현재의 나의 상태가 초기조건이 된다. 오늘 지금 이 시간에 내가 어떤 상태에 있는가가 바로 다가올 미래의 상태를 결정하는 초기조건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초기조건에 민감한 것이 바로 인생이다. 사소하다고 생각되는 오늘의 그 무엇이 미래의 상태를 결정하는 초기조건이 되어 미래에 가서 오늘을 생각할 때 그 때 그것이 나에게는 정말로 중요한 초기조건이었다고 깨닫게 된다.

    그러면 이쯤에서 인생에 있어서 초기조건의 민감성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토의는 조금 뒤로 미루고 그림 12-1의 모델로 돌아가기로 한다. 앞에서 이 모델을 ’내가 엔지니어로서 인생을 살면서 나의 직업에 대해서 느끼는 성공과 실패의 정도’로 비유할 수도 있다고 했다. 왼쪽 궤적은 성공했다고 느끼는 상태이며, 오른쪽 궤적은 실패했다고 느끼는 상태라고 생각한다면 그림 12-2(d)에서 점 p는 매우 실패했다고 느끼는 상태이며, 점 q는 매우 성공했다고 느끼는 상태이다. 그러면 나는 미래에 점 p 또는 점 q 중에서 어느 상태에 놓이게 될까? 먼 미래의 상태이므로 그것은 전혀 예측이 불가능하다. 그렇지만 이왕 한번 죽는 인생인데 미래에 점 q에 놓이고 싶은 것은 인지상적이다. 특히 사회에서는 ‘이공계 기피 현상’이니 뭐니 하면서 떠드는데 이렇게 공과대학에 진학한 나로서는 엔지니어로서 점 q에 놓이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아니 그것이 과연 나에게 가능은 한 것인가?

    12.2 꿈꾸는 공대생

    이 책을 읽는 학생들은 곧 교정을 떠나서 사회로 나갈 것이다. 그런데 졸업 후에 대학원을 진학하든 산업체에 취직을 하든지 그것은 당장 눈앞의 진로일 뿐이다. 제일 중요한 것은 내가 과연 20년 뒤에 어떤 곳에서 어떤 모습으로 일과 연구를 할 것인지에 대해서 확실한 꿈과 비전을 가지고 있느냐 하는 것이다.

      
    아마 대부분의 학생들은 이러한 나의 미래에 대한 꿈과 비전이 없이 이 순간 그저 학기말 고사나 취업에 필요한 준비만을 하고 있을 것이다. 그런데 그들이 과연 학기말 고사나 취업을 위한 영어 공부를 하는 정도의 시간과 노력만이라도 자기만의 꿈과 비전을 굳히기 위해서 투자를 해보았는지 잘 모르겠다. 한번만이라도 대기업을 성공적으로 경영하고 있는 엔지니어 출신의 CEO가 쓴 책을 읽고 나도 20년 뒤에는 바로 이런 모습이 되고 싶다고 꿈꾸는 노력을 했는지 모르겠다는 말이다. 그저 이공계 기피 현상이라는 현실에 좌절하면서 20년 뒤에는 없어지겠지 하는 멍청한 생각을 하고 있지나 않은지 모르겠다. 점점 더 포화 상태로 치닫는 경제 현실에서 아무런 꿈과 비전 없이 그저 친구들이 하는 말이나 언론에서 떠드는 피상적인 기사에 자기의 소중한 미래를 맡기고 있지나 않은지 걱정이 된다.

    공대에 들어와서 여전히 평균적인 위치의 엔지니어의 모습을 자기 미래의 소박한 꿈으로 삼고 나도 20년 뒤에는 혹시 회사에서 잘려나는 것은 아닌지 하는 막연한 불안감으로 졸업을 기다리지나 않는지 걱정이 된다. 왜 20년 뒤에 top 1% 이내에 드는 CEO, 전문 연구직, 교수, 창업가 등을 꿈꾸지 않는가? 왜 지금 이 순간 나 나름대로의 큰바위얼굴을 그리지 않는가? 왜 사회 현상만 탓하고 있는가? 과연 나는 얼마나 나 자신의 꿈과 비전을 확실히 세우기 위해서 시간과 노력을 투입했던가?

    엔지니어로서 20년 뒤의 내 모습으로서 그림 12-3과 같이 결국 크게 다섯 종류의 모습을 꿈꿀 수 있다:
    그림 12-3 엔지니어로서 실현할 수 있는 20년 뒤의 나의 다섯 가지 모습

    여기서 제발 “내가 과연 그런 모습이 과연 될 수 있겠나?”라는 소리는 좀 하지 말기 바란다. 큰바위얼굴 소년은 자기가 큰바위얼굴이 될 것이라고 생각도 하지 않았다(나다니얼 호손의 “큰바위얼굴”이라는 단편소설 참조). 그리고 그렇게 자기 모습에 대해서 이것도 저것도 아니라면 도대체 20년 뒤에는 어떻게 할 것이냐고 묻고 싶다. 축구 선수는 골대가 있기 때문에 90분 동안 죽을힘을 다해서 공을 찬다. 학생들은 A학점을 꿈꾸기 때문에 죽을힘을 다해서 시험공부를 한다. 고등학생들은 명문대학교에 합격하기 위해서 죽을힘을 다한다.

    “내가 과연 그런 모습이 될 수 있겠나, 어림도 없다.”라고 생각하는 것은 결국 “모두 다 공을 넣는 것도 아니고, 시험도 다 잘 보는 것은 아니며, 명문대학교 말고도 다른 대학도 많은데 왜 내가 꼭 공을 넣고, 시험도 잘 보고, 명문대학교에 들어갈 필요가 있는가?”라고 생각하는 것과 같다. 그렇다, 실패를 두려워하면 가지 않으면 된다. 그러나 우리는 인생을 단 한번 사는 것이기 때문에 누구나 다 20년 뒤를 맞이하게 되며, 결국 아무런 꿈과 비전이 없이 살아가도 결국 20년 뒤에 어떠한 모습으로는 되어 있을 것이다. 실패를 두려워해서 그냥 그렇게 살다가 20년 뒤에 그냥 되는대로 평균치기로 살면서 그 때도 여전히 이 놈의 사회가 이래서 안 된다고 푸념할 것인가? 그 때 가서도 여전히 이공계 기피 현상을 만든 사회를 보고 책임을 지라고 할 것인가?

    위의 다섯 가지의 모습 중에서 어떠한 것도 내 가슴에 공진과 같이 와 닿는 모습이 없으면 하루 속히 엔지니어가 아닌 다른 길로 가야 한다. 그래 다 좋다. 그런데 한 가지 정말로 묻고 싶은 것은 학기말 고사나 취업을 위해서 영어 공부하는 정도의 시간과 노력을 투입해서 위의 다섯 가지 길을 간 사람이 쓴 책도 읽고 인터넷도 검색하고 하면서 엔지니어로서의 자네의 꿈과 비전을 만들기 위해서 손톱만큼의 노력은 해보았는지 하는 것이다. 혹시나 부모나 친구들이나 선배들이 그저 지나가면서 던지는 그 한마디에 “엔지니어로서는 나는 이런 모습이 될 것이야.”라고 하고 있지나 않은지 모르겠다. 그저 언론에서 걱정하는 이공계 기피 현상에 대해서 나도 같이 걱정하며 주저앉고 있지나 않은지 모르겠다. 이공계 기피 현상보다도 더 걱정스러운 것은 내 가슴 속에 강력한 꿈과 비전이 없는 것이다.

    도대체 내 인생은 누가 살아 주는가? 친구가, 부모가, 언론이? 도대체 나의 꿈과 비전을 누가 만들어 주는가? 친구가, 부모가, 언론이? 꿈과 비전은 참으로 만들기 어려운 것이다. 역학 문제 풀듯이 하나의 정답이 있는 것이 절대로 아니다. 학기 중에는 힘이 들겠지만 방학 동안에는 필사적인 시간과 노력을 투입해서 위의 다섯 가지 길을 가고 있는 현재의 선배들이 쓴 책들을 위인전처럼 읽거나, 인터넷을 뒤지거나, 직접 인터뷰를 해서라도 그 사람들이 어떻게 각각 그 길로 갔으며, 지금 과연 무슨 일을 하고 있는지 알아보아야 한다(표 12-1은 그저 하나의 예로 들 수 있는 ‘꿈을 만드는 도서목록’임, 제 1장 연습문제 2, 7, 8, 9, 10도 참조할 것.). 대기업 CEO, 기술기반 창업가, 연구소 전문연구직, 교수, 전문행정가 등의 다섯 가지 모습에 대해서 적어도 각각 세 사람 정도를 정해서 철저하게 그 사람에 대해서 탐구를 해보라는 말이다. 스티브 잡스를 모르고 어떻게 기술기반 창업가가 되겠다고 할 것이며, 화성 탐사선 프로젝트 팀장이 어떤 인생을 살고 있는지 모르고서 어떻게 연구소 전문연구직이 되겠다고 할 것인가? 빌 게이츠가 돈 많이 버는 것은 대충은 알고 있겠지만, 그 밖의 성공한 기술기반 창업가는 과연 얼마나 많은 돈을 버는지 알고는 있는가?

    다섯 가지 길을 간 사람들의 모습을 상세하게 알면 알수록 점점 더 나 나름대로의 20년 뒤의 모습이 그래도 더 확실하게 잡힐 것이다. 이것은 마치 5명의 여자 또는 남자 친구 후보들 중에서 누구를 마지막에 선택할 것인가 결정하는 것과 같다. 각 5명을 만나보고 이야기 해보고 해서 점점 더 잘 알수록 이 여자 또는 남자야 말로 정말로 내 친구로 삼고 싶다 하는 마음이 확실해 진다. 그런 노력도 없이 그저 겉보기 모습으로 어떻게 최종 결정을 할 것인가? 나 나름대로의 꿈과 비전을 정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언론이나 주변에서 이야기하는 피상적인 모습으로 어떻게 나의 소중한 꿈과 비전을 결정을 할 수 있겠는가? 그리고 이렇게 결정한들 그것은 강력한 꿈과 비전이 되지도 못한다. 시간과 노력을 투입해서 많은 책들을 읽은 후에 그 모습이 무엇인지 생생하게 느끼고 제대로 알아야 비로소 결정을 내릴 수 있다.

    나 나름대로의 꿈과 비전을 결정하는 것은 이성적이고 논리적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고도의 감정적이고 주관적인 결정이다. 그러나 그 꿈과 비전은 가슴 벅찬 그런 것이다. 그러나 실현하기에는 지금은 거의 불가능해 보이는 그런 것이다. 그렇지만, “아 정말로 나는 이런 사람과 같은 굉장한 모습이 되고 싶다.”고 하는 그런 role model이 될 사람들을 필사적인 노력을 해서 찾아야 한다. 술 먹고 방구석에 쳐 박혀서 천장만 쳐다보면 꿈과 비전이 가슴 속에 저절로 새겨지는 것이 아니다.

    방학 동안에 영어회화 공부나 해야 하겠다고 마음먹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방학 끝나고 학교로 돌아 올 때에는 이 가슴 속에 절대로 지워지지 않게 각인된 그런 꿈과 비전을 새기고 오겠다고 마음먹는 것이다. 그런 모습을 담은 위인전들을 20-30권정도 배낭에 싸들고 다니면서 하나씩 읽으면서 내 가슴을 떨리게 만드는 그런 모습을 만나려고 노력하는 것이다. 그런 사람의 모습을 만나는 순간 나의 꿈과 비전이 확실해진다. 그리고 그렇게 되면 다음 학기에는 당장 무슨 과목을 수강할 지부터 시작해서, 군대는 언제 어떻게 가고, 대학원을 갈 것인지, 유학을 갈 것인지, 회사는 어떤 회사에 취직을 할 것인지 등등의 모든 결정이 쉬워질 것이며, 그 보다도 더 지금 이 순간 자네가 하고 있는 모든 공부와 사회 활동에 대한 의미가 생기며, 비로소 고등학교 3학년 때처럼 또다시 미래를 위해서 죽을힘을 다 해야 하겠다고 하는 동기가 생길 것이다.

    표 12-1 엔지니어로서 미래의 꿈을 만드는 도서목록

    .. 이 목록은  전재하지 않음.. (by HF)

    도대체 방학 동안에 영어회화 공부는 왜 하려고 하는가? 유학을 가기 위해서 토플 성적을 높이려고? 취업을 위해서 토익 성적을 높이려고? 이런 동기로 영어회화 공부하는 친구도 있을 것이지만, 20년 뒤에 global top class 대기업의 CEO로서 세계 각국에서 집결된 임원급 회의를 할 때를 위해서 영어회화 공부를 한다고 생각하면 모골이 송연할 정도로 죽을힘을 다해서라도 잘 해야 하겠다는 생각이 들 것이다. 그리고 국내 또는 외국 대학원이든지 석사 및 박사 공부를 생각하는 사람이 있다면 도대체 20년 뒤의 어떤 나의 모습을 실현하기 위해서 대학원에 진학을 하려는 것인지 묻고 싶다. 좋은 회사에 당장 취직을 하는 것이 급하기는 하지만 그래도 나의 20년 뒤에 어떤 모습을 위해서 그 회사에 신입사원으로 들어가려고 하는지 묻고 싶다.

    아무리 지금 당장의 생활이 고달프고 힘이 들더라도 젊은이로서 나의 미래를 꿈꾸는 것은 하나의 특권이다. 그런데 젊은이로서 그러한 찬란한 꿈을 실현해서 20년 뒤에 global top 1% 리더가 되는 것은 하나의 의무사항이기도 하다. 그것은 남자라면 군대를 가는 것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중요하게 나에게 지워지는 무거운 짐이기도 한 것이다.

    12.3 꿈과 비전을 위해서라면 절대로 포기하지 말라.

    나의 꿈과 비전은 곧 나의 20년 뒤의 모습이다. 가상적으로 20년 뒤의 나의 모습을 공중에서 내려다보고 있다고 생각해보자. 그 때 나는 엔지니어로서 어디에서 무슨 직업의 일을 하면서 살고 있을 것인가? 그 모습은 크게 앞에서 설명한 다섯 가지 모습 중의 하나일 것이다. 그리고 20년 뒤에는 세계화가 더욱 진행되어 나는 틀림없이 세계를 무대로 활동을 하며 세계 중의 어느 나라에서 무언가 global top 1% 리더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그런 내 모습이 될 것이다.

    그러면 왜 이런 강력한 꿈과 비전이 가슴 속에 각인이 되어 있어야 하는가? 제 12.1절에서 우리 인생이 비선형 동역학 시스템이라면 인생살이도 초기조건에 매우 민감하다고 했다. 그런데 여기서 초기조건이라는 것이 태어날 때의 나의 조건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항상 현재의 나의 상태가 초기조건이 된다고 했다. 오늘 지금 이 시간에 내가 어떤 상태에 있는가가 바로 다가올 미래의 상태를 결정하는 초기조건이 되는 것이다.

    그림 12-4 꿈과 비전을 위해서라면 절대로 포기하지 말고 물러서지 말라.

    나는 인생을 살면서 그림 12-4와 같이 내 가슴 속의 꿈과 비전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크고 작은 문턱을 만나게 된다. 대학 입시를 통과하는 것, 숙제를 내는 것, 학기말 고사를 보는 것, 좋은 친구를 만나는 것, 영어회화 공부 등록을 하는 것, 자격시험에 붙는 것, 대학원 입시에 합격하는 것 등 크고 작은 문턱을 만난다. 이것은 제 12.1절에서 설명한 분기선과 같은 것이다. 문턱을 지날 때마다 나의 상태는 분기된다. 그런데 문턱을 지날 때마다 나의 꿈과 비전을 실현하는 방향으로 분기되는 것을 거듭하다가 보면 결국 꿈과 비전을 실현하는 것에 점점 더 가까워지게 된다.

    그렇다면 우선 지금 이 순간의 나의 상태가 꿈과 비전을 실현하기 위한 문턱에 진입하고 있는 상태에 해당되는지를 항상 인식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그리고 “아 지금 문턱에 진입하고 있구나.”하고 느끼는 순간에는 정신을 차리고 죽을힘을 다해서 그것을 돌파해서 꿈과 비전을 실현하는 방향으로 분기하도록 만들어야 한다.

    예를 들어서 병아리가 껍질을 깨고 세상에 나오는 것도 일종의 문턱을 돌파하는 것과 같다. 어떤 병아리는 눈앞에 나타난 껍질을 보고 지금이 바로 이것을 깨고 세상에 나가야 하는 문턱이라는 것을 인지하고 그 때부터 죽을힘을 다해서 바로 껍질을 깨고 세상에 나간다. 그런데 어떤 병아리는 껍질이 눈에 보여도 이것이 문턱인지 아닌지도 인식하지 못한 상태에서 심심하면 본능적으로 껍질을 깨는 흉내나 낸다. 그러다가 껍질에 가해진 에너지의 총합이 어느 수준 이상이 되면 껍질은 깨지고 세상에 나가게 된다. 그러나 세상에 나가고 보면 이미 이전에 나온 병아리들이 좋은 자리는 다 차지하고 있고 이미 꽤 큰 병아리가 많이 있는 것을 발견한다. 그리고는 자기 잘못은 전혀 생각하지 않고 세상만 탓한다. 나도 껍질을 깨기 위해서 노력을 했는데 세상은 왜 이렇게 불공평한가? 여기서 이 병아리는 문턱을 돌파하는데 필요한 에너지의 총합만을 생각했지 어느 순간 내는 최대 파워(power)가 더 중요하다는 것을 간과한 것이다. 단위 시간당 최대 에너지를 내는 것을 최대 파워를 낸다고 한다. 그리고 이것이 바로 “죽을힘을 다한다.”고 하는 것이다. 어차피 껍질을 깨고 나갈 것이면 정신을 차리고 나에게 지금 문턱이 다가왔다고 인지하고 죽을힘을 다해서 껍질을 깨고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분기하도록 해야 한다. 죽을힘을 발휘해서 문턱을 돌파해서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분기하고는 잠시 쉰다. 그런데 뒤에 나온 멍청한 병아리는 껍질을 깨기 위해서 발휘한 에너지의 총합은 동일하게 내기는 했지만 죽을힘을 다해서 최대 파워를 내지는 않았던 것이다. 왜? 최대 파워를 내면서 느끼는 괴로움이 싫었던지 아니면 아예 지금이 최대 파워를 내야하는 문턱이라는 것을 몰랐던지 둘 중의 하나이이다. 아니면 두 개가 다 이유이었는지도 모르겠다.

    사람에게 주어진 에너지의 총합은 같다. 그런 의미에서 인생은 공평하다. 그러나 죽을힘을 다하는 최대 파워를 발휘할 때의 괴로움을 견디느냐 아니냐가 더 중요하다. 이런 점에서는 인생은 불공평하다. 특히 이 세상에는 아무리 사소한 것이라고 생각되는 문턱이 나에게 미래에 꿈과 비전을 실현하는데 큰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 인생은 초기조건에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다가오는 문턱이 미래의 꿈과 비전을 달성하는데 관계가 있을 것이라고 의심이 조금이라도 간다면 그것이 당장에는 아무리 사소하다고 생각이 되어도 절대 포기하거나 물러서지 말고 죽을힘을 다해서 돌파해야 한다. 그리고 한번 죽을힘을 다해서 문턱을 넘은 경험이 생기면 더 큰 문턱도 넘을 수 있다. 문턱을 넘는 메커니즘은 동일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서 “너무 피곤한데 이번 숙제 하나는 제출하지 말고 넘어갈까?”라고 생각하고 포기하면 안 된다는 말이다. 이 숙제가 학점에 미치는 영향, 더구나 미래의 꿈과 비전을 실현하는 것에 미치는 영향을 생각하면 너무나 사소하다고 생각되지만, 과연 그것이 정말로 미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아무도 알 수 없다. 인생 자체가 비선형 동역학 시스템으로서 초기조건에 민감하기 때문이다. 만일 숙제 하나로 총점에서 1점이 모자라서 A학점이 아니라 B학점으로 학기말에 분기되고, 이 과목의 학점이 한 등급 모자라는 것이 전체 졸업학점에 0.1점 영향을 미쳐서 나의 꿈과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서 2년 뒤에 지원한 곳에 선택되어야 하는 문턱에서 탈락되는 방향으로 분기될 수도 있다. 인생은 이러한 비연속적인 분기를 만들어내는 문턱들의 파도로 이루어져 있으며 어느 문턱도 사소하다고 절대로 단정할 수 없다. 강의실에 들어와서 뒤에 앉겠다고 결정하는 것을 많은 학생들은 사소하다고 생각할지 모르겠으나 그러한 결정이 계속된다면 그것은 제법 큰 초기조건의 차이를 만들며 그것이 미래에 나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아무도 모른다(그런데 앞에 앉는 것이 뒤에 앉는 것보다는 괴로운 일이므로 아무래도 앞에 앉는 괴로움을 택하는 것이 미래를 위해서는 좋다고 생각된다.).

      
    그렇다면 만나는 모든 문턱마다 진입 시점에서 죽을힘을 다해야 하는데 이렇게 만드는 것이 바로 나의 꿈과 비전이다. 강력한 꿈과 비전이 없으면 인간인 이상 괴로움을 감내하면 모든 문턱마다 죽을힘을 내지는 못한다. 아무 동기도 없이 죽을힘을 내는 사람이 이 세상에 어디 있는가? 고등학생으로서 대학입시에 합격하기 위해서 죽을힘을 내었던 시절이 있었을 것이다. 바로 1-2년 뒤의 명문대학교의 대학생이 되는 나의 모습을 꿈꾸었기 때문에 죽을힘을 다 한 것이다. 그러나 이제는 무엇을 위해서 죽을힘을 다하려고 하는가? 고등학생 패러다임으로 그냥 여전히 지금도 산다면 이제는 좋은 대학원에 진학하거나 좋은 회사에 취직하기 위해서 죽을힘을 다해야 맞다. 그런데 과연 지금 죽을힘을 다한다고 할 수 있는가? 아마도 자기가 낼 수 있는 최대 파워 중에서 50%나 낼지 말지 할 것이다. 왜냐하면 좋은 대학원에 진학하거나 좋은 회사에 취직하는 것은 꿈 치고는 20년 뒤의 굉장한 모습이 되는 것보다는 그래도 쉬워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니 문턱마다 무슨 죽을힘이 나오겠는가? 이제는 20년 뒤의 나의 굉장한 모습을 그리며 살아야 할 시기이다. 오로지 1-2년 뒤만을 생각하는 좁은 시야로 살던 고등학생 패러다임은 이제 저 멀리 치우고, 이제는 20년 뒤를 생각하는 넓은 시야로 인생을 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제 오직 하나 남은 내 인생의 마지막 굉장한 꿈과 비전을 위해서 죽을힘을 다해야 할 시기이다. 좋은 대학원에 진학하고 좋은 회사에 취직하는 것은 그 굉장한 꿈과 비전을 실현하기위한 전략일 뿐이다.

    이런 이유에서라도 강력한 꿈과 비전을 만들기 위해서 우선 죽을힘을 다해야 한다. 그런데 강력한 꿈과 비전은 지금 생각해서는 도저히 가능할 것 같지 않기 때문에 정말로 내가 되고 싶은 굉장한 꿈과 비전을 세우려고 하는 순간 또 다른 내가 뒤에서 바로 나의 목을 치게 마련이다. 그 시간은 얼마 걸리지도 않는다. 꿈과 비전을 세우려고 하는 순간 바로 “내가 할 수 있을까?”, “그걸 해서 도대체 무엇하나?”, “나는 이 사람과 같이 타고난 능력과 재능이 없어서.”, “그 사람은 천재라서 그렇게 된 것인데, 내가 어떻게 그렇게 되겠나?”, “이것 때문에 나는 할 수 없어.”, “그러면 그렇지 내가 별 수 있겠나?”, “이것은 내 적성에 맞지를 않아서.” 등등 많은 부정적 생각이 샘솟듯이 떠오르면서 또 다른 내가 나를 막는다. 그러나 이것은 나만 그런 것이 아니라 모든 사람이 다 그렇다. 그러나 정말로 그 꿈과 비전이 점점 더 알고 보았더니 생각할수록 가슴이 벅찬 그런 것이라면 그런 부정적인 생각을 “야 시끄럽다. 그래도 정말 나는 그런 굉장한 모습이 되고 싶다. 아직 해보지도 않고 포기할 수는 없다.”라는 생각으로 계속 내려쳐야 한다.


     그렇다, 나의 role model 누구처럼 나도 정말로 그런 굉장한 사람이 되고 싶다면 이제부터 죽을힘을 다해서 해보는 거다. 어차피 한번 사는 인생인데 죽을힘을 다해서 해보지도 않고 이것 자르고 저것 자르면 아무 것도 남는 것이 없다. “엔지니어는 의사보다 월급이 작다.”, “대기업에 엔지니어로 입사하면 50대 나이에 그만두게 되고 그러면 살길이 막막하다.”, “명문대학교를 나와야 무언가 되지.”라고 생각하는 것은 평균치기 사고방식이다. 그렇다. 인생을 살면서 문턱을 인지하고 그 순간만은 죽을힘을 다하지 않으면 늦게 껍질을 깨고 세상에 나온 병아리처럼 아무리 명문대학교를 졸업해도 평균치기나 오히려 그 이하도 될 수 있다. 그러나 젊은 시절에 가슴 벅찬 꿈과 비전을 만들어서 가슴에 각인하고 다가오는 크고 작은 문턱에서 죽을힘을 다해서 포기하지 않는다면 미래에 결국 그 가슴 벅찬 꿈과 비전을 실현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인생은 고도의 비선형 동역학 시스템이다. 초기조건에 민감해서 미래를 예측할 수는 없다. 그러나 어차피 나의 의지와 무관하게 이 세상에 던져진 이상 어떻게 살아야 할지는 본인이 선택하는 수밖에 없다. 지금이라도 늦지 않다. 현재의 상태가 바로 미래의 상태를 결정하는 초기조건이 된다. 이러한 생각으로 가슴 벅찬 꿈과 비전을 되도록 빨리 세우고 파도처럼 밀려오는 문턱마다 결코 포기하지 말고 죽을힘을 다해서 이 책으로 공부한 학생들이 20년 뒤에는 굉장한 global top 1%의 훌륭한 엔지니어 리더가 되어 있기를 간곡히 기도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