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11월 26일 목요일

[scrap] Don't become a scientist! / 이공계, 꿈도 꾸지마라.

미국의 한 물리학자가 진심으로 쓴 듯한 글이다. 원문을 전재한다. 원저자는 자신이 물리학자이기 때문에 순수과학을 하지 말라고 했지만, 지금의 한국에서는 응용과학, 공학등 모든 이공계가 가시밭길이며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HO야, 이공계, 꿈도 꾸지 말아라. 비록 넌 그 쪽에 재능이 있겠지만...


Don't Become a Scientist!

Jonathan I. Katz / Professor of Physics
Washington University, St. Louis, Mo.


Are you thinking of becoming a scientist? Do you want to uncover the mysteries of nature, perform experiments or carry out calculations to learn how the world works? Forget it!

Science is fun and exciting. The thrill of discovery is unique. If you are smart, ambitious and hard working you should major in science as an undergraduate. But that is as far as you should take it. After graduation, you will have to deal with the real world. That means that you should not even consider going to graduate school in science. Do something else instead: medical school, law school, computers or engineering, or something else which appeals to you.

Why am I (a tenured professor of physics) trying to discourage you from following a career path which was successful for me? Because times have changed (I received my Ph.D. in 1973, and tenure in 1976). American science no longer offers a reasonable career path. If you go to graduate school in science it is in the expectation of spending your working life doing scientific research, using your ingenuity and curiosity to solve important and interesting problems. You will almost certainly be disappointed, probably when it is too late to choose another career.

American universities train roughly twice as many Ph.D.s as there are jobs for them. When something, or someone, is a glut on the market, the price drops. In the case of Ph.D. scientists, the reduction in price takes the form of many years spent in ``holding pattern'' postdoctoral jobs. Permanent jobs don't pay much less than they used to, but instead of obtaining a real job two years after the Ph.D. (as was typical 25 years ago) most young scientists spend five, ten, or more years as postdocs. They have no prospect of permanent employment and often must obtain a new postdoctoral position and move every two years. For many more details consult the Young Scientists' Network or read the account in the May, 2001 issue of the Washington Monthly.

As examples, consider two of the leading candidates for a recent Assistant Professorship in my department. One was 37, ten years out of graduate school (he didn't get the job). The leading candidate, whom everyone thinks is brilliant, was 35, seven years out of graduate school. Only then was he offered his first permanent job (that's not tenure, just the possibility of it six years later, and a step off the treadmill of looking for a new job every two years). The latest example is a 39 year old candidate for another Assistant Professorship; he has published 35 papers. In contrast, a doctor typically enters private practice at 29, a lawyer at 25 and makes partner at 31, and a computer scientist with a Ph.D. has a very good job at 27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are the few fields in which industrial demand makes it sensible to get a Ph.D.). Anyone with the intelligence, ambition and willingness to work hard to succeed in science can also succeed in any of these other professions.

Typical postdoctoral salaries begin at $27,000 annually in the biological sciences and about $35,000 in the physical sciences (graduate student stipends are less than half these figures). Can you support a family on that income? It suffices for a young couple in a small apartment, though I know of one physicist whose wife left him because she was tired of repeatedly moving with little prospect of settling down. When you are in your thirties you will need more: a house in a good school district and all the other necessities of ordinary middle class life. Science is a profession, not a religious vocation, and does not justify an oath of poverty or celibacy.

Of course, you don't go into science to get rich. So you choose not to go to medical or law school, even though a doctor or lawyer typically earns two to three times as much as a scientist (one lucky enough to have a good senior-level job). I made that choice too. I became a scientist in order to have the freedom to work on problems which interest me. But you probably won't get that freedom. As a postdoc you will work on someone else's ideas, and may be treated as a technician rather than as an independent collaborator. Eventually, you will probably be squeezed out of science entirely. You can get a fine job as a computer programmer, but why not do this at 22, rather than putting up with a decade of misery in the scientific job market first? The longer you spend in science the harder you will find it to leave, and the less attractive you will be to prospective employers in other fields.

Perhaps you are so talented that you can beat the postdoc trap; some university (there are hardly any industrial jobs in the physical sciences) will be so impressed with you that you will be hired into a tenure track position two years out of graduate school. Maybe. But the general cheapening of scientific labor means that even the most talented stay on the postdoctoral treadmill for a very long time; consider the job candidates described above. And many who appear to be very talented, with grades and recommendations to match, later find that the competition of research is more difficult, or at least different, and that they must struggle with the rest.

Suppose you do eventually obtain a permanent job, perhaps a tenured professorship. The struggle for a job is now replaced by a struggle for grant support, and again there is a glut of scientists. Now you spend your time writing proposals rather than doing research. Worse, because your proposals are judged by your competitors you cannot follow your curiosity, but must spend your effort and talents on anticipating and deflecting criticism rather than on solving the important scientific problems. They're not the same thing: you cannot put your past successes in a proposal, because they are finished work, and your new ideas, however original and clever, are still unproven. It is proverbial that original ideas are the kiss of death for a proposal; because they have not yet been proved to work (after all, that is what you are proposing to do) they can be, and will be, rated poorly. Having achieved the promised land, you find that it is not what you wanted after all.

What can be done? The first thing for any young person (which means anyone who does not have a permanent job in science) to do is to pursue another career. This will spare you the misery of disappointed expectations. Young Americans have generally woken up to the bad prospects and absence of a reasonable middle class career path in science and are deserting it. If you haven't yet, then join them. Leave graduate school to people from India and China, for whom the prospects at home are even worse. I have known more people whose lives have been ruined by getting a Ph.D. in physics than by drugs.

If you are in a position of leadership in science then you should try to persuade the funding agencies to train fewer Ph.D.s. The glut of scientists is entirely the consequence of funding policies (almost all graduate education is paid for by federal grants). The funding agencies are bemoaning the scarcity of young people interested in science when they themselves caused this scarcity by destroying science as a career. They could reverse this situation by matching the number trained to the demand, but they refuse to do so, or even to discuss the problem seriously (for many years the NSF propagated a dishonest prediction of a coming shortage of scientists, and most funding agencies still act as if this were true). The result is that the best young people, who should go into science, sensibly refuse to do so, and the graduate schools are filled with weak American students and with foreigners lured by the American student visa.


Jonathan Katz
Thu May 13 12:39:11 CDT 1999

2009년 11월 25일 수요일

Come to my house to play, dad / 아빠, 우리집에 놀러와요

지금은 오전 9시 10분. 막 출근했다. 그런데 집에서 전화가 왔다. HO다.

HO: 아빠 우리집에 놀러와요

허억. 이번주 좀 바빠서 HO가 잘때 출근하고 잘때 퇴근했더니만...

HF: 알았어. 오늘 일찍 들어갈께.

HO: 응 일찍 들어와요

일찍 들어갈께.


Now it's AM 9:10, just came to office, when the phone rangs.

HF: Who's there?

HO: Dad, come to my house to play.

Quite a shock. This week I came to office early and went home late. So there's no time to play with HO. she says "my house" not "home". To her, I suddenly become a friend who sometimes plays with her.

HO, I'll arrive home early today. Then we can play joyfully.

2009년 11월 18일 수요일

Too much knowledge will kill you

Computer Systems: A Programmer's Perspective
Randal E. Bryant David R. O'Hallaron


일때문에 어셈블리어에 대해 알 필요가 있어서 인터넷 검색을 하다가 발견한 책. 어셈블리어, 프로세서 구조, 최적화 및 링킹에 대한 챕터등 앞 300페이지 정도의 내용은 생소한 내용이 많아서 신나게 읽었는데, 나머지 700페이지는 많이 접해보았던 내용이어서 읽다가 기운이 빠졌다. 목차 및 리뷰를 볼 때는 이 책을 읽고 나면 보다 나은 프로그래머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4주나 들여 다 읽고 난 지금은 굳이 그렇지도 않다. 뭐가 변했을까? 디스어셈블한 코드를 떠듬떠듬 읽게는 되었다는 정도?

이런건 대학때 읽었어야 하는 것이었다. 설렁설렁 4주정도에 읽는게 아닌, 수업을 들으면서 연습문제를 풀고 프로젝트를 해 나가면서...

이 분야에 오래 있었기 때문에 관련 지식은 어느정도 쌓여 있다. 그로 인해 새로이 무엇인가를 공부할 때에 좋은 점도 있지만 나쁜 점도 있다. 좋은 점이라면, 새로 배우려는것이 혁신적인 것이 아닌 다음에야 이미 알고 있는 것에 어느 정도 추가되는 정도에 불과하므로 배우는 속도가 무척 빠르다는 것. 그러나 나쁜 점은, 새로 배우는 과정이 자기가 이미 알고 있는것을 재확인하는 과정만으로 작용하기 쉽다는 점이다.

대부분 아는 내용이기 때문이니까 무척 빠르게 지나가는데, 그 중간중간 모르고 있던 내용이 나왔을 때에 '아 대부분 아는 내용이지만 이것을 몰랐군, 알고 지나가자' 로 생각하기 보다는 '대부분 아는 내용이고, 이건 그다지 중요하지 않아' 로 생각하기 쉬운 것이다. 특히 그 모르고 있던 내용이 이해가 어려울 때에 그런 경향이 더욱 두드러진다. 그런데, 그 모르고 있던 내용이 중요한 내용일 수가 있는 것이다. 도리어 아예 새로운 분야라서 아는 부분이 모르는 부분에 비해 적을 때는 도리어 철저히 하고 넘어가게 된다.

그 빼놓은 부분이 사소한 것이면 다행이로되, 중요한 것이라면 흔히 말하여지듯 "대충은 알 것 같은데 디테일을 모르겠어" 가 되는것이다. 그래서 백지와 같은 시절에 학습하는 것이 중요하고, 또한 선생에게 배우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선생은 어느 부분이 중요한 지 말해 줄 수 있는 사람이니까.

This book, well known as CSAPP, is a perfect text for undergraduate system programming. 3rd year (junior) might be a perfect fit for this graduate. It would become a better book if authors drops out Chapter 8 and above, the part related with programming in application layer. However, the former part is quite impressive. It's deadly illustrative instruction.

5 stars for Chapter 3. Machine-Level Representation of Programs, Chapter 4. Processor Architecture, Chapter 5. Optimizing Program Performance, Chapter 6. Memory Hierarchy, Chapter 7. Linking. 3 stars for all other chapters.

Though I learned a lot from earlier chapters, I already knew most of the subject the book covered. As a consequence, I skimmed the book from chapter 8. When a some difficult parts came across, I skipped them thinking "I'll visit there later".
Now I've finished reading. What did I reap from this book? I might read disassembled code in x86 and x86_64. Some optimization techniques might be earned. But I think that those are too few result regarding 4 weeks I've spent in reading.

Why couldn't I earn more? Maybe the book was a crap or my reading attitude was broken. But most important reason is that I know too much, however shallow, too much. Because the book tells the story not foreign, already well-known, I try to understand the whole forest, ignoring trees which were the details of the forest. This mechanism works unless the details are the key. In many cases the details are the key.

Too much knowledge will hinder you from learning more. Too much knowledge might kill you.

2009년 11월 17일 화요일

A Flying Trapeze / 공중그네 / 空中ブランコ

空中ブランコ (공중그네)
奥田 英朗 / 오쿠다 히데오



"다시 한 번 성격을 바꿔보면 어때? 아침마다 간호사 엉덩이를 더듬는다던가."
"바보 같은 소리. 성희롱이라고 난리칠 게 뻔하지."
"그럼, 책상 서랍 속에다 장난감 뱀을 몰래 숨겨둔다거나."
"간호사 센터에서 항의할 텐데."
"그런 행동을 1년 동안 계속해봐. 그럼 주위에서도 포기해. 성격이란 건 기득권이야. 저놈은 어쩔 수 없다고 손들게 만들면 이기는거지."
- 장인의 가발 中

어린이와 같이 브레이크 없는 행동방식의 신비한 정신과의사 이라부박사가 등장한 5개의 옴니버스 이야기. 브레이크가 없는 것은 자신 뿐만이 아니고 환자들에게도 마찬가지이며, 환자들은 그래서 처음에는 거부감을 가지지만 핵심에 다다르기 위해서는 자신을 둘러싼 것들을 치워버려야 한다는 것을 이라부에게 핍박(?)받으면서 알게 된다. 자기 자신이 만든 구속이, 그게 자기자신에게 향하든 다른 사람이나 세상에 향하든, 강박증, YIPS 등을 만들게 되고 그를 해결하는 열쇠는 자기 자신에게 있는것이라는 이야기. 이 이야기가 독자들에게 어필하는 것은 (최소한 나에게는 어필했다) 성인이라면 누구나 내면과 실제 행동양식의 불일치로 인한 스트레스를 가질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라부박사는 말하자면 셜록홈즈나 구영탄같은 인물이고, 그래서 이 이야기는 흔히 일상에서 볼 수는 없을 것이라는 비현실성으로 인해 순수문학으로는 인정받을 수 없었겠지만, 대중 소설로는 상당한 재미를 가져다 주었다. 다 읽고 난 후의 느낌은 "맛있네"라는, 너무 촌스럽지도 않고 오묘하지도 않지만, 먹고 싶은 것을 먹었을 때의 그 기분. 지금 찾아보니 극화적 설정으로 인해서인지 이미 TV시리즈로도 방영되었었다고.

최근 일본어 공부 하느라 독서량이 현격히 줄었다. 읽는데에 피곤해지지 않고 도리어 기분 전환이 될 수 있는 이런 책들에 우선 손이 가게 된다. 일본어를 본격적으로 한 지 3달이 되었으나 아직 바보 수준이다.

"A Flying Trapeze" by Okuda Hideo is a omnibus novel which touches human hearts. Every man has a barrier around his heart, which is built by himself to protect him. However, the barrier sometimes turn its teeth to himself and OCD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or Yips might results in at bad cases. Okuda says the solution lies in each people. It's the builder who knows the barrier most, not any other people. Agreed.

We are all crazy from a certain viewpoint. I'm sure that other people would enjoy this novel too.

2009년 11월 11일 수요일

To Six-Days Pharmacy / 육일약국 갑시다



나이를 먹어가면서 점점 어수룩해지는 면도 많지만, 어릴적 보다 약간은 현명해지는 면도 있어서 그나마 다행이다... 라고 생각하고 있다. 책을 고를 때에 책의 제목에 이끌려서 사게 되는 점은 점점 어수룩해진다는 증거이겠으나, 그 제목 속에, 그리고 책 속에, 지은이의 진정성이 얼마나 들어있는지를 보다 잘 알 수 있을 것 같다는 점은 나이듦이 가져다주는 조금의 현명함이리라.

육일약국 갑시다. 편집자는 책 제목을 두고 큰 걱정을 하지 않았을 듯하다. 그리고 내용면에서도. 성공담은 사실 잘 읽히기가 어려운 것이, 다른 사람이 쓰면 소설이나 다큐멘타리가 되기 쉽고, 자신이 썼을때도 무용담이나 교훈담이 되기 때문에 "그래서 뭘 어쩌라고"라는 반응이 나오기 쉬운 것이다. 그를 극복하는 오직 하나의 방법은 진정성이리라. 그를 위해서는 특별한 방법은 없다는 것이 작가들의 말이며, 작가가 진정성을 가지고 쓸 때 그것이 독자에게 전달될 수 있는 것이다. 겉표지나 목차를 보고 그저 그런 자기경영서로 보기에는 아까운 책이다. 참 느낌이 좋았던 책.


  • 육일약국을 경영할 때 역시 평일에는 손님에게 충성하고, 일요일은 하나님에게 충성하는 것이 내 삶의 방식이었다... 어찌됐든 사생활로 손님들에게 불편을 주는 것이 죄송했다. 일요일에 약국을 찾는 헛걸음이라도 줄여주고 싶었다. 고객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를 담아 '육일약국'이란 이름을 지은 것이다. 육일약국은 말 그대로 '6일만 영업한다'라는 뜻이다.
  • 매일매일 정성껏 씨앗을 뿌리다보면, 오늘 거두는 열매도 있고 내일 거두는 열매도 있게 마련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하루도 거르지 않고 씨앗을 뿌리는 것이다. 매일 두 개의 씨앗을 뿌리고 하나의 열매를 거두면, 점점 수확을 늘어나게 될 것이다. 예전 뿌려두었던 씨앗의 열매를 거두는 일이 많아지기때문이다. 하지만 1개를 뿌리고 1개를 거두거나, 0.5개를 뿌리고 1개를 거두는 욕심을 부리면, 금방 바닥이 드러나고 더 이상 수확을 할 수 없다.
  • 언뜻 보면 사람의 장점을 찾아내어 칭찬해주는 일이 입에 발린 인사치레 같지만, 그것이 주는 힘은 상상 이상이다.
  • 초등학생인 둘째 딸아이는 무의식적으로 '이건 뭐야?' '저건 무슨 뜻이야?'라고 묻는 버릇이 있다. 물론 호기심이 왕성한 나이 탓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나는 질문하기 전에 먼저 생각해보고, 그래도 모르겠으면 물어보라고 이른다. 아니면 일단 깊이 생각한 후 자신의 생각이 맞는지 확인하기 위한 질문을 던지라고 말한다. 정답을 아는 것보다, 그 이유를 알기 위한 과정이 더욱 중요하기 때문이다.
  • 많은 사람들이 별생각 없이, 요령 없이 욕심이나 의욕만 가지고 비즈니스 경쟁에 뛰어든다. 사업을 하기 위해서는 차별화와 경쟁력에 대한 핵심 요소들을 빠르게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닥치면 다 한다'란는 마인드로는 경쟁에서 승리할 수 없다.
  • 대부분의 약사들은 '경영' 지식에 대해 기피하고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하지만 전문지식에는 누구보다 많은 욕심을 냈다. '고객'대신 '환자'만 있고, 자신은 '약사'이지 '장사꾼'이 아니라는 생각 때문이다. 나는 이것을 경영 마인드의 부족에서 오는 편협한 생각이라 여겼다.
  • 모든 일에는 타이밍이 중요한데, 특히 '돈'에 대한 타이밍은 다시 한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적절한 타이밍을 사용하면 같은 금액일지라도 그 감동과 효과는 2배가 된다.
  •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집념과, 사소한 일 하나를 처리하는 데도 만 가지 방법이 있다고 생각하는 마인드
  • 필리핀 속담에, '하고 싶은 일에는 방법이 보이고, 하기 싫은 일에는 변명이 보인다'라는 말이 있다.


Kim, Seong-Oh is the Co-president of Megastudy, No. 1 online education company in Korea. While he had nothing when he graduated a college of pharmacy, he has succeeded in developing his newly-founded small pharmacy into enterprise-level big pharmacy with faith and cleverness. After that he has succeeded in a manufacturing business and a online education business.

He viewed every duty from management viewpoint. Though numerous people have succeeded in their businesses, we can say Mr.Kim's case is special since he says management is a matter of 'human', neither money nor even customer. This book, "To Six-Days Pharmacy", is his story written by himself. The title "Six-Days Pharmacy" is the name of his pharmacy. As a christian he could not work in Sunday, He wanted his customer, however, to know his shop only opens six days a week and not to find the closed door in Sunday. Idea like this only could be found from few special pepople. If you read this book, you could see he is a man of faith. A nice book on a wonderful man.

2009년 11월 10일 화요일

Computational Thinking


As a graduate, even a Ph.D., of computer science major, I always ask myself about the virtue of the computer science. Is it a really science? Why it is called science rather than skill? Can it make one a better programmer? Are there any possibilities for it to make one a better human? Am I in the track worth running? Is there any worth of it to devote myself to lifelong learning in this area?

To these questsion, Dr.Wadler's favorite quote from Edgar Dijkstra from Turing Award Lecture, The Humble Programmer, answers this way:
"In their capacity as a tool, computers will be but a ripple on the surface of our culture. In their capacity as intellectual challenge, they are without precedent in the cultural history of mankind."


Nice quote. However, "Computational Thinking" by Dr. Jeannette Wing answers in another way:
"It represents a universally applicable attitude and skill set everyone, not just computer scientists, would be eager to learn and use"

In other words, it is that computational thinking, raised and acquired while studying computer science, makes one a better human. It's the conjecture I always hold in my heart. I am very delighted to find another people who has same thought. One message of her, "One can major in computer science and do anything", is surely good one. But if I'm her position, I'll rather say "Engaged with computer science? Do other thing then." It's like swordmaster's saying "Trained enough? then go and save people. People count, not a sword."

전산학 전공후 프로그래머로 사는것. 20년 동안 검술을 수련후에 검술사범으로 일하는 것과 같다. 검을 수련했으면 세상으로 나아가 사람을 구해야 하는 것이 아니었을까. Jeannette Wing 박사의 "Computational Thinking"을 읽고 든 생각이다. 대학때에 이걸 읽었으면 다른 길로 갈 가능성도 조금은 있었을지도.

P.S. HO야. 아빠나 Wing박사, Wadler박사는 전산학을 했기 때문에 그 안에 삶의 진리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를 깨닫는 것일거야, 그게 무엇이든. 깨달음은 서로 통한다고 하니 말이지.

2009년 11월 8일 일요일

Stop and Think / 공부하는 독종이 살아남는다



공부하는 독종이 살아남는다 / Stop and Think, 이시형

아버지의 서가에도 "배짱으로 삽시다"가 꽂혀있었고, 어린 나는 그 책을 읽으면서 "역시 남자라면 배짱" 이런식으로 감탄하곤 했다. 책을 쓴 사람은 무척이나 훌륭한 나이지긋한 박사님인가보다 생각했었고. 나름대로 그 책은 국민학생의 눈에는 매우 훌륭했던 책이었으며, 그 시절의 대학생들을 비롯한 일반인들에게 어필하여, 당시에 보기 드문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이번 책, "공부하는 독종이 살아남는다"를 저자가 펴내지 않았더라면, 아니 내가 읽지 않았더라면 이시형박사는 내 기억속에서 매우 훌륭했던 사람으로 남아있었겠지만 이미 읽어버렸는걸 어떡하랴. 이박사 나름대로 공부의 즐거움, 이점, 요령들을 모르는 세대들에게 쉬운 말로 설파하고자 했을 지도 모르지만 내게는 독한 자기계발붐에 편승하여 책을 조립했다는 정도로만 느껴졌다. 나름 다독가인 듯 하니, 책에 대한 요약을 버릇삼아 살았다면 이러한 책은 쓰는데 한달이나 걸렸을까. 쓰는 데에 비단 어려움이 없다는 것은 독자에게 숨길수가 없는 법. 삼십분 정도에 일독 하고 나니 그 옛날의 "배짱으로 삽시다"일 때로 그랬을까?하는 생각이 든다. 그러지는 않았으리라. 그 때에는 그도 젊었으니까 지금 보다 더 많은 생각을 더 용기 있게 썼을 터이다.

할아버지가 손자들에게 이야기를 해 주는 것은 분명히 정겹고 좋은 일이긴 하지만, 책으로 나오려면 조금은 노력을 해서 써야 하지 않았을까?

인생경험이 전무에 가까운 수험생들에게는 유익한 책. 그러나 다른 사람들은 서점에서 30분 읽고 나서 결정해야 할 책이다.

몇가지 남겨둘 만한 부분만을 발췌한다.


  • 공부할 때는 머리로 생각하고 가슴의 열정으로 그 목표를 꿈꾼다 . 엉덩이를 진득하게 붙이고 앉아 공부량을 늘리고 두 다리로 성공으로 가는 가장 빠른 길을 찾는다. 공부는 온몸으로 하는 것이다.
  • 세로토닌을 늘려라: 씹는다. 심호흡. 걷는다. 사랑한다(예전에는 달리 취미가 없던 세상이라 성이 즐거움의 큰원천). 사람들과 즐겁게 어울린다.
  • 뇌력은 곧 언어력이다. 모든 창조적 공부도 언어를 통해 이루어진다.
  • 공부의 집중은 무섭게 집중해야한다. 일점 집중.


It's another self-improvement book, which tells us about importance and effective ways of learning. Dr. Lee Si Hyung is known for bestseller writer as well as M.D. "To Live with Guts" was a phenomenal bestseller in 80s. I of course read and deeply moved. However, as he gets old, he writes this scrappy book. If this book is not scrappy then my expectation to him was too high. He might be only a bestseller writer, nothing more.